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1987년, 미국의 IT 회사인 제록스와 애플의 프로그래머들이 모여 유니코드를 만들기 시작했지요.현재는 비영리 기관인 유니코드 협회가 유니코드를 관리해요. 올해 3월에 나온 최신 버전인 ‘유니코드 12.0’은 영어와 한글은 물론, 이란과 남인도의 전통 문자까지 총 13만 7929자의 문자를 입력할 수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옆에 놓인 자외선 조명을 켜자 나일레드에 물든 미세플라스틱들이 푸른색으로 빛나기 시작했답니다. 빛나는 부분을 확대해 보자 미세플라스틱의 모양이 확실하게 보였지요.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는 겨우수십μm(마이크로미터. 1μm은 백만 분의 1m다.)에 불과했답니다. 눈으로는 쉽게 볼 수 없는 아주 ...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장속에 돼지편충이 들어오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던 면역세포가 돼지편충을 공격하기 시작해요.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날뛰던 비정상 면역체계가 바로잡히지요. 2~3주가 지나면 돼지편충은 인간의 몸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빠져나간답니다. 결과적으로 돼지편충 덕분에 크론병이 나을 수 있는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생각한다면 틀렸어요. 이모티콘은 문자, 숫자 등 여러 기호를 조합하여 만든 그림에서 시작됐어요. 1982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컴퓨터과학자인 스콧 팔먼이 제안하면서 유명해졌지요. 예를 들어 그가 제안한 ‘스마일리’ 이모티콘(:-))은 콜론(:), 마이너스(-), 오른쪽 괄호())를 합쳐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1996년 미국에서 시작된 활동으로 이후 전세계로 퍼졌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작돼 올해 10회를 맞이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총 300명이 탐사에 참여했지요. 이유미 원장은 “바이오블리츠가 10주년을 맞는 올해는 국립수목원이 개원 2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기간이 시작됐어요. 종일 비가 내리자 섭섭박사님은 밖에 나가지 않고도 재밌게 노는 방법을 생각해 봤지요. 그러다 재밌는 사격 놀이가 떠올랐어요. 고무줄 총으로 아이팝콘 기기를 쓰러뜨리면 소리가 나도록 직접 코딩을 하기로 했어요! 이번 메이커 스쿨에서는 코딩을 이용해 사격 게임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뇌의 명령을 받지 않아도 수축과 확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때 수축 운동을 시작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동방결절’은 심장의 ‘우심방’에 있어요. 심장은 위쪽 두 개의 심방과 아래쪽 두 개의 심실로 나뉘는데, 우심방은 심방 중에서 오른쪽에 있는 공간이지요.동방결절은 한 번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렁이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침수에 대한 내성이 낮은 종(Amynthas gracilis)은 폭우가 시작되자 곧바로 땅 위로 올라왔지만, 산소 소비량이 적은 종(Pontoscolex corethrurus)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오래 버틸 수 있어 비가 쏟아지는데도 땅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doi: 10.1111/j.1744-7410.20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방문지, 그리고 비밀번호까지 개인 정보들이 홍수처럼 밀려왔다. 단 20분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통신 기술에는 항상 공격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그래서 방어 기술이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