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π가 끝이 없는 수라는 걸 어떻게 아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정96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계산해서 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까지
정확
하게 계산했습니다. 조충지는 소수점 아래 여섯째 자리까지 계산했고요. 원주율의 값을 더 많이 계산하려는 경쟁은 매우 치열했습니다. 이 같은 경쟁 끝에 결국 1700년대 후반에 원주율은 수의 배열이 반복되지도 않으면서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헤드라이트 역할을 하려면 손가락을 잘 숨겨야 한다. 대체 어디에 숨겨야 할까?이것 역시
정확
하게 계산돼 그려졌다. 팔 부분의 전개도를 오려 붙여 보면 로봇의 팔뚝에 해당하는 부분이 윗면과 아랫면이 없는 직육면체 모양이 된다. 뻥 뚫린 직육면체의 한쪽에 손이 달린 모양인데, 여기 그려진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 각자 자신만의 신비의 수를 찾을 수 있기때문이다. 142857의 비밀은 분수, 더
정확
하게는 순환소수에서 찾을 수 있다.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분수를 소수로 표현해 보자. 이렇게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소수점 아랫자리의 수가 끝나지 않고 한없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소수 중에서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암호화한 사람이 정해놓은 핵심 단어와 이를 이용해 만든 5×5 암호판을 알아내야 암호를
정확
하게 해독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핵심 단어가‘mathematics’라고 하자. 이것을 가지고 5×5 암호판을 만들어‘He is a murderer’란 문장을 암호화해보자.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암호판이 완성되면, 원래의 문장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파편은 크기가 작아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나노 앰플은 약물의 양을
정확
하게 담을 수 있다. 또한 입구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어 약물이 중간에 새지 않는다. 신 교수는 “약물전달체는 앞으로 거대한 시장이 예상되는 만큼 나노와 생물공학을 융합한 새로운 기술은 세계 시장을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으킨다.임종한 인하대 산업의학과 교수는 “인체에서 다이옥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정확
하게 알 수 없다”고 말했다.강한 독이 우려돼 인체 실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이옥신으로 암살될 뻔한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의 전 대통령처럼 다이옥신에만 노출된 특이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해 실험 방법을 수정해 재실험했다. •녹말/포도당 재실험의 개선점 - 포도당 실험에서
정확
성을 위해 식물(상록수와 상록수가 아닌 것)의 잎을 빻아서 실험했다. - 베네딕트 반응을 시킬 때 직접 가열했다. (전 실험에서는 물 중탕을 함) - 에탄올 탈색 기간을 20분에서 하루로 늘렸다. 개선된 실험을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복원과정에서 아래쪽에 숨어있는 그림의 존재를 알지 못하면
정확
한 복원 방식을 선택하기 어렵다. [지류 문화재 복원의 첫 단계는 클리닝이다. 브러시로 표면에 묻은 각종오염물과 먼지 등을 털어낸다. 하지만 회화작품, 특히 안료를 두껍게 칠한 불화는 칠이 떨어져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정확
히 얼마나 되는 사람들이 교대근무나 밤샘 근무를 하고 있을까.“우리나라에는
정확
한 통계조차 없어요. 경제협력개발 기구(OECD)에 보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고용노동부의 근로시간실태조사에도 구체적인 교대근무 정보를 묻는 항목이 없습니다(지난 5월 27일, 정부는 처음으로 교대제 상세조사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벌이 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 영역을 인식하게 됐는지
정확
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색으로 보이는 꽃잎을 자외선 카메라로 보면 꿀이 있는 중앙으로 갈수록 짙어지기 때문에 꿀을 모으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꽃을 바라봐도 인간과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