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온몸이 아프고, 상처가 늦게 낫는다. 하지만 린드는 치료법만 찾아냈지 비타민의
정확
한 존재를 잘 알지 못했다.일본에서도 비슷한 발견이 이어졌다. 1884년 일본의 의사 타카키 가네히로는 도정한 백미만을 주식으로 먹는 계층에서 각기병이 자주 발병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를 증명하기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아열대 바다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우리 바다에 어떤 수산자원이 있는지
정확
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대수 소장은 “새로 나타난 어류 가운데 특히 오키나와 바다에서 제주로 이사 온 금강바리, 구갈돔, 쥐돔 등에 주목하고 있다”며 “새로 나타나거나 갑자기 증가하고 있는 수산자원을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3차원 영상을 제작하면 실제 내부 구조와 똑같이 볼 수 있어 이상이 생긴 부분을 더
정확
하게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로 얻은 태아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바꾸면 태아의 골격 구조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이 3차원 골격 구조로 태아가 정상인지 기형인지 판단할 수 있는 ... ...
폴링 스카이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떠서 하늘로 날아간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내용이 아닌가.미국에는 ‘가위’를 뜻하는
정확
한 단어나 개념이 없다. ‘수면마비’라는 말이 있지만 다소 개념이 다르다. ‘가위현상’을 계속 연구해 온 데이비드 J. 허포드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인문의학부 교수는 ‘가위’를 뜻하는 단어가 있는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때, 흥미가 없거나 지루할 때 하품이 나온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하지만 하품이 나오는
정확
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한편, 옆에 있는 친구가 하품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따라한 경험이 모두 있을 거예요. 하품이 전염되는 걸까요?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고든 갤럽 박사는 대학생 4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헤드라이트 역할을 하려면 손가락을 잘 숨겨야 한다. 대체 어디에 숨겨야 할까?이것 역시
정확
하게 계산돼 그려졌다. 팔 부분의 전개도를 오려 붙여 보면 로봇의 팔뚝에 해당하는 부분이 윗면과 아랫면이 없는 직육면체 모양이 된다. 뻥 뚫린 직육면체의 한쪽에 손이 달린 모양인데, 여기 그려진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 각자 자신만의 신비의 수를 찾을 수 있기때문이다. 142857의 비밀은 분수, 더
정확
하게는 순환소수에서 찾을 수 있다.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분수를 소수로 표현해 보자. 이렇게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소수점 아랫자리의 수가 끝나지 않고 한없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소수 중에서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위험도 예측에서는 잘못될 경우 수많은 생명이 위험해져
정확
도가 더 중요하다. 연구팀이‘재난 위험도 예측 모델’개발에 나선 이유다.* 중력파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일 때 나오는 파동.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담을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수학일기에 자신의 수학 실력에 대해 어떠한 가감도 없이
정확
하게 써야 한다. 그래야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새로운 아이디어와 생활이 녹아 있어야 - 수학일기 사례 생각을 깊고 넓게 하라수학일기를 잘 쓰려면 생각을 깊고 넓게 할 수 있어야 한다.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물론 건물번호가 1번과 2번인 건물이 똑같이 도로 입구에서 20m 구간에 있다는 점에서
정확
한 거리보다는 건물이 위치한 구간을 아는 셈이다. 예를 들어 주소가 ‘세종대로 110’인 서울시청은 세종대로 시작점에서 약 1.10km(110 X 10m) 떨어진 구간의 오른쪽에서 만날 수 있다. 하지만 건물이 커서 여러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