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높다는 것이지 그 파장의 빛만 골라내 사용하는 것은 아니었다. LED는 다르다. LED는
정확
하게 특정 파장의 빛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때문에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들만 합성해 실험에 응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에 감수해야 했던 많은 오차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실험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담은 저서에 이 퍼즐을 소개하면서부터 더욱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이 퍼즐을 부르는
정확
한 이름이 없었다. 1953년 미국의 솔로몬 골룸 박사가 하버드대 수학클럽에서 강의 도중 최초로 ‘펜토미노’ 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오늘날까지 ‘펜토미노’ 라 불리게 됐다.펜토미노는 입체도형과 ... ...
특목고 입시 기획 ② 특목고, 언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며“면접에서는 학습계획서에 맞게 자신의 꿈과 포부를
정확
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19세에 보험회사에서 3주 만에 쫓겨났지만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고 매일 외쳐 27세에 백만장자가 된 폴 마이어는 “마음속에 그린 것을 생각하고 간절히 바라며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다. 포탄이 날아가는 경로, 발사각도, 경로, 탄도거리 등을 계산해
정확
하게 표적을 향해 쏘는 것이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관건이었다. 이에 각 나라마다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포물선 연구에 많은 시간을 쏟았다.신기전의 원리영화 ‘신기전’ 속 여주인공 홍리는 ... ...
1/2은 되고 2/4는 안 되나?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잠깐 유리수와 분수의 차이를 살펴봅시다. 초등학교에서는 분수라는 표현을 쓰지만
정확
한 표현은 유리수입니다. 대체로 분모, 분자 꼴로 나타낼 수 있기만 하면 모두 분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π/2도 분수입니다. 그런데 분자인 π는 정수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런 분수는 유리수가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용하면 공진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어설프게 두려워하기보다는 이 기회에
정확
히 알아두는 게 어떨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나 떨고 있니? 진동과 공진의 힘PART 1. 공진은 무서워?PART 2. 진동은 피곤해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높아진다.우주먼지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분석하면 대략적인 성분을 알 수는 있지만
정확
한 성분은 물론 우주먼지 자체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우주먼지를 채집하려고 시도해왔는데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가 바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스타더스트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전혀 보이지 않는 본그림자와 태양빛이 일부 보이는 반그림자가 있다. 태양-지구-달이
정확
히 일직선에 놓이면 달은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 전체가 가려진다(개기월식). 하지만 달이 일직선에서 벗어나 있으면 일부분만 가려진다(부분월식). 월식은 지구에서 밤인 곳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다.]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중나선’에서 왓슨조차 이 책을 탐독했다며 “동료인 프랜시스 크릭도 화학결합의
정확
한 길이를 찾을 때 자주 참고했다”고 회상하고 있다. 왓슨은 이 책에서 수시로 폴링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심을 드러낸다. 이렇게 절대 넘을 수 없는 마왕 같은 연구자이자 스승이 자신과 똑같은 주제로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현상과 관련이 있다. 화살은 활을 겨눌 때 화살촉 부분이 활과 맞닿는 부분인 줌통(
정확
히는 출전피)을 스치면서 날아간다. 화살이 조준된 방향은 활의 두께 때문에 줌통을 쥔 손과 시위를 당긴 손이 이루는 힘의 직선 방향과 약간 어긋나게 된다. 이 차이 탓에 화살은 활을 떠날 때 출전피를 스치면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