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물질 보고 단백질, 자유롭게 구조 바꾼다
2015.05.26
결합시켜 선과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 조립체로 만들 수 있다. 단백질 크기는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인체 내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단백질은 구조만 바꿔주면 전혀 새로운 기능을 기대할 수 있어 신약개발, 인체기능 조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이를 ... ...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 분의 1m) 정도 크기였던 픽셀을 수 마이크로
미터
까지 줄일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초고해상도 모니터 개발이 가능해져 50배 이상 화질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고성능 디스플레이 개발은 물론 과학실험 목적으로도 ... ...
아라미드에서 그래핀까지, 방탄복의 진화
2015.05.22
개발하고 지난해 1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름이 1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인 그래핀을 여러 겹 쌓아 방탄용 소재를 만들었다. 이를 활용하면 100만 장 이상 겹쳐도 두께가 0.3mm밖에 안 돼 얇고 가벼운 방탄복을 만들 수 있다. 이진우 삼양컴텍 방탄시험소 선임연구원은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
2015.05.20
연결돼 전체적으로 관 모양을 형성하는 물질이다. 관의 지름이 수 십~수 백 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에 불과해 정수용 막으로 만들 경우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 막은 물 분자를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서 물을 통과시켜 정수하는 속도가 기존에 비해 ... ...
연료전지 촉매, 백금과 금 중 누가 더 비쌀까요?
2015.05.19
왼쪽 상단)로 산화되는 과정을 그린 개념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1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m) 두께의 얇은 금 박막을 만들고 그 위에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뿌렸더니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금 박막과 만나는 경계면에서 촉매 활성이 향상됐다. 특히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금 박막의 ... ...
5분이면 얇고 휘어지는 전자소재가 ‘뙇’!
2015.05.18
5분 만에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께가 25㎚(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로 매우 얇고 쉽게 휘어지는 절연체를 만들었다. 절연체는 전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어 전자소자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부품이다. 연구팀은 절연체를 만들기 위해 열 대신 빛을 이용했다. ... ...
얇고 잘 늘어나는데 아이폰6보다 7배 더 선명
2015.05.14
스마트폰인 갤럭시S6의 4배, 아이폰6의 7배 정도다. 두께도 매우 얇아 2.6㎛(마이크로
미터
) 정도로 머리카락 두께의 40분의 1에 불과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데다 잡아당기면 늘어나기도 한다. 김대형 연구위원(서울대 교수)은 “초고해상도를 가진 양자점 LED를 개발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아주 얇은 막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 엽록소 세포를 직접 넣어서 햇빛에 쪼인 뒤, 세포에서 나온 전자를 얻는 것이다.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면 커다란 나무부터 물속에 사는 미생물인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 네이처 제공 보통 세포를 물이 들어 있는 풍선에 비유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나노
미터
굵기의 바늘로 콕 찔러도 퍽 하고 터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원핵생물은 단단한 세포벽을 만들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진핵세포는 세포벽이 없지만 대신 세포내부에 액틴 같은 필라멘트 단백질로 ... ...
유리막대 안 들어가는 마이크로 시약은 어떻게 섞을까요?
2015.05.06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양이 매우 적은 마이크로
미터
(㎛) 이하 수준의 유체에서는 점성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섞기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전류를 흘려보낼 때 나노입자들이 자기조립되는 현상을 이용해 3차원 소용돌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조립된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