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9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환자 위협하는 ‘작은와포자충’ 10분만에 찾아낸다
2015.04.15
사람의 호흡기와 장 점막에 붙어 살아가는 기생충으로 지름이 5~7μm(마이크로
미터
, 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해 사람 눈에 보이지 않는다. 건강한 사람은 1~2주일 가량 설사를 하는 정도에 그치지만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과 같이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극심한 탈수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 ...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지만, 균열의 크기가 불과 수십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미세해 해결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GDC에 여러 물질을 섞어가며 실험한 결과 코발트를 이온 광물과 합성했을 때 전극의 불순물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앞으로 더 작은 스마트더스트를 개발할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로
미터
(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앱으로 수돗물 수질 알려주고… 물 새는 곳 감지하고…
동아일보
l
2015.04.09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의 가정집 등 146곳에는 지난달 ‘스마트
미터
’가 설치돼 주민들의 똑똑한 물 소비를 돕고 있다. 각 공장과 가정의 수돗물 사용량을 한 시간 단위로 알려주는 장치다. 소비자들은 평소보다 수돗물 사용량이 늘면 누수를 의심해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거미줄보다도 큰 값이 나왔다. 연구자들은 지름이 수십 나노
미터
에 불과한 침철석 나노섬유가 고밀도로 박혀 있는 게 이처럼 높은 강도를 내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할 거리가 없어 걱정일 때는 학술지를 뒤적일 게 아니라 야외로 나가 동식물들을 자세히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촉매로 쓰이는 산화아연(ZnO)을 ㎚(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작게 만들고 이를 그래핀이나 풀러렌 같은 탄소나노소재로 코팅했다. 그래핀은 육각형 모양의 탄소원자 배열이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이며, 풀러렌은 탄소원자가 축구공 모양의 ... ...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표지에는 비행접시 같은 물체가 등장한다. 이 물체는 비행접시가 아니라 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핵자기공명 인식 센서다. 현재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생물체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형광물질을 이용해 확인하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 ... ...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사막에서도 잘 버틴다. 연구팀은 동자꽃의 생존 비결을 이파리 표면에 난 30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길이의 미세한 털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동자꽃잎의 털이 15~20도의 습한 상태에서는 원뿔형 구조를 이루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는 수직으로 90도 정도 뒤틀리는 특성이 수분을 ... ...
100배 싼 촉매 개발… “수소상용화 앞당겼다”
2015.03.29
가지 니켈 화합물의 화학적 효과를 정밀하게 예측했다. 그 결과 황화니켈을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작게 만들면 수소 발생을 위한 촉매 성능이 가장 우수해 진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 구조로 이뤄진 단결정 황화니켈 화합물을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위조 방지 기술로는 지폐에 사용되는 홀로그램이나 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소형 식별자를 넣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마이크로 식별자는 식별 방식이 바코드처럼 쉽게 예측할 수 있어서 위조 위험이 높았다. 연구진은 사람의 지문에 주목했다.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