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9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 교수는 “두께 3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인 초박막 반도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가장 얇은 반도체는 두께가 14nm 수준이다. 연구진이 사용한 재료는 이황화몰리브덴(MoS2)이다. 이황화몰리브덴은 얇고 전기가 잘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나노선은 두께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했다. 특히 껍질의 구조가 6㎛(마이크로
미터
)인 실리콘 나노선의 경우 껍질이 얇은 부분은 파란색 빛만을, 껍질이 두꺼운 부분은 초록색 빛만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선명한 유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리 표면에 1μm(마이크로
미터
) 두께로 이산화실리콘을 코팅한 뒤 고온의 플라스마로 깎아냈다. 동시에 나노 돌기의 ‘틀’ 역할을 할 나노 금속입자를 유리 표면에 뿌렸다. 금속입자가 들러붙은 표면은 상대적으로 플라스마에 덜 깎여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사이에서 일어나는 물질교환을 알아내기 힘들었다. 반면 TNT 멤브레인은 두께가 500㎚(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로 기존 막 대비 20분의 1로 얇고 다공성으로 이뤄져 있어 세포간 물질 교환이 신체 내에서와 유사하게 일어난다. 실제로 연구팀은 TNT 멤브레인을 이용해 암이 전이되는 과정에서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초고속으로 발생하는 수소와 중수소의 교환현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이크로
미터
(㎛) 크기의 작은 물방울에서는 생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배아 화석을 발견했다고 보고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즉 지름이 400~500마이크로
미터
(㎛)인 공 모양의 이 화석은 마치 분열 중인 수정란처럼 화석 개체에 따라 세포가 두 개, 네 개, 여덟 개 등으로 나뉘어 있었고 분열이 진행되어도 공의 크기가 그대로라 세포 하나의 크기는 작아졌다. 바로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일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지름이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정도에 불과한 산화아연 막대의 지름과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컴퓨터나 스마트기기에 쓰이는 반도체는 회로가 정밀할수록 성능이 뛰어나지만 최근 5~10nm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1~3mm 깊이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광학현미경으로는 조직 아래 수십 μm(마이크로
미터
)의 영상밖에 얻을 수 없어 세포 깊은 곳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박편을 잘라내 관찰해야 했다. 이번에 개발된 CASS 현미경의 경우 내시경에 달면 위암과 대장암 등은 수술 없이 진단할 수 있는 ... ...
‘딱딱한 반도체’의 주범 절연막 부드러워졌다
2015.03.10
- 네이처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연구팀이 사물인터넷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는 10nm(나노
미터
) 이하의 얇고 유연한 절연막을 개발했다. 임성갑 KAIST 생명공학과 교수와 유승협·조병진 전기 및 전자광학과 교수팀은 구리 전선을 감싸는 피복처럼 반도체 내에서 절연체 역할을 하는 고성능 고분자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게 바로 미세한 기름방울이 분산돼 있다는 증거다. 유지방 방울은 지름이 수 마이크로
미터
내외로 가시광선의 파장인 0.4~0.7μm보다 크기 때문에 빛이 산란돼 불투명해져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매일 아침 얼굴에 바르는 로션이나 크림도 유화 상태다. 현미경으로 보면 젖과 비슷한 모습이라는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