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8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부리기만 해도 태양광 발전효율 100배 ↑”
2015.09.16
물질이 기존 방법으로 만든 100배 증폭 광전기 효과를 낸 것이다. 특히 이 기술은 나노
미터
크기의 극미세 회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첨단 나노소자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전기 기계적 성질의 측면에서 새로운 현상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면서 ... ...
태양전지에 붙이면 효율 쑥 올라가는 필름 나왔다
2015.09.09
9일 밝혔다. 연구진은 알루미늄 기판을 산화시킨 뒤 부식시키는 공정을 통해 수십 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 두께의 나노선을 제작했다. 이 나노선은 스스로 조립되며 필름 형태가 되는데, 자세히 보면 여러 개의 산이 모인 것 같은 미세구조를 나타냈다. 이 필름은 산등성이 부분과 사이사이 뚫린 ... ...
[Health&Beauty]카페인처럼 强하다… 일상 위협하는 ‘셀피 중독’ 적극적 ‘중독치료’를
동아일보
l
2015.08.26
모녀가 국립공원에서 들소들과 함께 셀피를 찍다가 소에게 엉덩이를 들이박아 몇
미터
를 날아갔다가 떨어져 부상을 당한 사건도 있었다. 러시아에서는 한 소녀가 권총을 들고 셀피를 찍으려다 오발로 숨지는 일도 있었다. 실제로 셀피 촬영을 위해서라면 높은 절벽 끝이나 철로, 고속도로 등 위험한 ... ...
[신나는 공부]산책하고 TV보며 수학실력 UP
동아일보
l
2015.08.25
둘레를 배운다 초등 5학년 2학기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단위’ 단원. 이 단원에선 제곱
미터
(m²)를 비롯해 100m²를 뜻하는 1아르(a), 1만m²를 뜻하는 1헥타르(ha) 등 넓이의 단위를 배운다. 생소한 개념을 접하는 많은 초등생이 어려워하는 단원이다. 김진수 경기 서해초 교사는 “운동장에서 직사각형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 켐니츠공대 제공 데니스 마카로프 독일 켐니츠공대 연구원은 두께가 2㎛(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한 초박막 전자피부가 지구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들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월 21일 자에 발표했다. 이 전자피부를 장갑에 붙이면 손바닥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지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 형태로 감염이 이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무질이란 지름이 1㎛(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방울로 장시간 공기 중에 머무를 수 있다. 6월 한국을 강타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또한 연무질 감염 가능성을 두고 논란이 된 바 있다. 리안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국내 연구팀이 원자 단위의 미세조절 기술로 가시광선 흡수율을 4배 이상 높인 3㎚(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광소재를 개발했다. 김형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을 신소재로 각광 받는 이황화물질을 이용해 가시광선 흡수율을 높인 차세대 광소재를 만들었다고 18일 ... ...
체내에서 정상작동할 수 있는 반도체 개발
2015.08.18
피하려 하는 수분과 수용액 환경을 역이용해 수용액과 반도체 사이에 0.1㎚(나노
미터
·10억 분의 1m)의 전기이중층 유전막(절연체)이 형성되도록 했다. 물과 반도체 사이에 만들어지는 유전막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건조한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지만, 체액과 유사하게 만든 환경에서는 8시간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김근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과 최형준,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차세대 액정장치를 개발했다. 송장근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마이크로
미터
(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 액체방울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기술을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면 기존 10분의 1의 전압으로도 구동할 수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