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팽이 껍질 위에 동그랗고 까만 저건, 진짜 ‘눈’?
2015.11.22
’에 주목했다. 이 기법은 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물체부터 이보다 큰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여기서 얻은 정보를 3차원(3D) 이미지로 얻을 수는 없었다. 연구팀은 기존의 SAXS 방법에 위상학 정보를 이용한 모델을 ... ...
가격 확 낮춘 인공광합성 장치 나온다
2015.11.18
잘 통하는 탄소 가루(탄소 담지체)를 기판 삼아 그 위에 은나노 입자를 성장시켜 5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급의 촉매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 촉매는 기존 촉매를 썼을 때보다 전력 손실을 40% 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물속에서 이산화탄소만 골라 일산화탄소로 ... ...
줄기세포 배양 효율 8배 높이는 기술 개발
2015.11.13
밀도가 높던 부분은 막, 낮던 부분은 구멍이 각각 돼 구멍이 무수히 많은 수 백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공배양에 사용됐던 기존 분리막은 두께 10㎛, 전체 면적 중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공극률)은 2% 수준에 그쳤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분리막은 ... ...
숨막힌 중국… 숨막힐 한국
동아일보
l
2015.11.11
“공기청정기 켜도 역겨울 지경” 8일부터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지름 2.5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가 한반도 대기 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한층 높아졌다. 이번 중국 북부의 미세먼지 대부분은 북풍을 타고 베이징으로 내려가거나 ... ...
‘나노급’ 정밀도로 기계부품 깍는다
2015.11.10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어떤 재료든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m) 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는 차세대 가공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기존의 공정으로는 수행하기 어려웠던 각종 부품 재료를 미세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의 국내 경쟁력이 크게 ... ...
원자 한 층, 세상에서 가장 얇은 ‘그래핀 포장지’
2015.11.04
얇은 ‘그래핀 포장지’를 개발했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0.25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그래핀으로 3차원 구조의 실리콘 기판을 완벽하게 코팅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옆으로 이어 붙이던 전자소자를 위로 쌓아 3차원 구조를 만들면 ... ...
‘불타는 얼음’ 메탄하이드레이트 비밀 찾았다
2015.11.02
안정성과 매우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결정 크기가 15~2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까지는 결정이 작아질수록 압축력과 인장력에 점점 더 강해졌다. 하지만 이 크기보다 작아지자 결정 구조가 급속하게 불안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런 특성은 금속인 ... ...
서울대 교수가 만든 에스프레소보다 3배 진한 더치커피
2015.10.30
커피원두에서 기름기만 모두 제거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커피원두를 15㎛(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미세한 크기로 분쇄했다. 이를 이용해 더치커피를 만들자 시중 더치커피 농도의 4, 5배 수준인 고농축 커피가 나왔다. 에스프레소보다는 3배 이상 진했다. 연구진이 만든 커피 ... ...
의심 환자, 바이러스 감염 바로 확인하는 키트
2015.10.21
내 미세한 통로를 따라 흐르면서 크기가 큰 백혈구만 분리된다. 분리된 백혈구는 나노
미터
크기의 날카로운 실리콘 바늘 위를 지나가며 세포막이 파괴되고 혈액 중 항원과 유전물질만 자동으로 추출된다. 실험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키트는 혈액 중 백혈구를 99% 거의 완벽하게 분리했고 시약이나 ... ...
스마트폰으로 수소 누출 감지한다
2015.10.19
감시가 어려워 별도의 가열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65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팔라듐 나노리본을 40nm 정도의 미세한 틈을 두고 정렬하는 구조로 센서를 개발했다. 센서가 수소를 감지하면 팔라듐이 팽창하면서 틈이 채워지고 3~4초 만에 전기 신호를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