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훈련
가르침
교훈
교시
양성
트레이닝
훈육
d라이브러리
"
교육
"(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칵테일 요법으로 에이즈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글 최승규·genesis3212@hanmail.net 서울대 생물학과와 생물
교육
과를 졸업하고 현재 세종과학고에서 생물을 가르치고 있다. 여러 개념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답이 열려있는 문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관심이 있다.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플랫폼을 활용해서 이 자료를 분배·배포하며,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는 세티 홍보와
교육
에 기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조직위원회도 구성돼 명예위원장에 조경철 박사가 추대됐다.서울, 울산, 제주 21m 망원경으로 초대형 망원경 효과세티 코리아 프로젝트는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NASA는 기후변화, 환경 등을 우주기술과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는
교육
분야에서 교과부와 항우연의 협력이 부족하다고 했지만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세우는 데는 우주청이 따로 필요 없을 정도로 두 기관이 잘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볼든 국장은 먼저 “우주청 문제는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발명은 이 같은 상상을 현실로 만들 원동력이다.최 부회장은 “발명진흥회가 제공하는
교육
은 미래지향적 발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며 “가능성 있는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든든한 발판’ 역할을 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세종대왕이 장영실에게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 ...
겨레의 과학을 찾아서! 수원화성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뿐 아니라 멀리서 오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하기 유리한 구조로 설계됐거든. 국제연합(UN)
교육
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도 ‘동서양의 군사건축 과학이 잘 어울려 만들어진 뛰어난 성곽’이라며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했을 정도야.화성은?215년 전인 1794년 짓기 시작해 2년 9개월 뒤인 1796년에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가위바위보 규칙을 제정하고 2001년부터 세계가위바위보대회를 개최하며 어린이 대상의
교육
이나 홍보 활동 등을 벌이고 있다. 올해 세계대회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11월 11일 열린다. 한국가위바위보협회는 2004년 설립돼 2005년에 세계대회 대표를 뽑는 제1회 국내대회를 개최했다.가위바위보가 ... ...
부모의 사랑으로 수학 성적이 쑥쑥!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보내며 보살핌을 잘 받은 아이들이 더 좋은 성적을 얻었습니다.보스턴칼리지와 하버드
교육
대학원, 샘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연구소(NICHD)의 도움으로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까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1300명의 수학과 읽기 성취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만 5세 까지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인도의 수학자 라마누잔을 꼽을 수 있어. 라마누잔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탓에 정규
교육
을 받지 못하고 혼자 수학을 공부했어. 그가 수학자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영국의 수학자 하디 덕분이야. 라마누잔의 천재적인 수 감각은 1917년 그가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의 일화로 전해지고 있어.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Prologue_ 영국인인 레뮤엘 걸리버는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언젠가는 세계를 여행하게 될거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어른이 된 걸리버는 의사 자격으로 배를 타고 머나먼 땅으로 항해를 떠납니다. 그런데 걸리버가 탄 배가 암초에 부딪쳐 산산조각이 나고 맙니다. 바다를 표류하던 걸리버는 이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한국 어린이가 상대적으로 명사보다 동사 습득이 빠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한솔
교육
문화연구원 장유경 원장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어린이는 어휘 300개를 구사할 때 동사와 형용사가 20%를 차지하지만 한국 어린이는 어휘가 200개만 돼도 3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어린 시절부터 습득한 공간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