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육"(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일진상 수상자 발표수학동아 l2010년 02호
- 해동상은 ‘공학기술문화확산’ 부문에 김두희 동아사이언스 대표, ‘공학교육혁신’ 부문에 안승준 삼성 전자 전무가 선정됐습니다. 그리고 일진상은 ‘기술정책기여’ 부문에 최영락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부 교수, ‘공학한림원발전’ 부문에 손욱 농심 회장이 선정됐습니다.김두희 대표는 ... ...
- 터치 맨투맨 기초영어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대원미디어 | 장르 교육 | 플레이 인원 1명 | 가격 4만 8000원 | 발매일 2월 8일게임과 학습을 겸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가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한자어 맞추기, 퍼즐 맞추기, 고도의 순발력을 발휘해야 하는 두뇌게임까지. 지금도 버스나 지하철에서는 휴대용 게임기에 온 정신이 팔려 있는 ... ...
- 토종 '달 지도'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월면지도 증보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이 지도는 대형 브로마이드로 제작돼 전국 16개 교육청을 통해 일선 학교로 배포될 예정이다. 또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와 세계 천문의 해 웹 사이트(www.astronomy2009.kr)에서도 제공될 예정이다 ...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2008년에는 KAIST가 선정하는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자로 선정됐고, 지난 11월에는 경암교육문화재단이 주관하는 제5회 경암학술상 공학부문 수상자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지난 2년 동안 ‘앙게반테 케미’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같은 국제 유명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과학동아 l2010년 01호
- There are a lot of reasons astronauts haven't moved beyond the low-Earth orbit in nearly 40 years. One of them is that we haven't had the machines to take us anywhere else. In 2004, however, the U.S.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좋겠네요. 수학은 명쾌한 사고력을 갖추는 데도 도움이 되거든요.어린 시절 받은 교육 중에서 기억나는 것이 있나요?수학을 공부하느라 다른 공부를 충분히 하지 못했는데, 훗날 연구 논문을 쓸 때 작문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지요. 수학을 좋아하더라도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공부를 할 필요가 ...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의외로 유명한 정치가들 중에서 수학을 좋아한 사람이 많아요. ‘수학과 진로는 교육이나 경제 혹은 IT분야’라는 생각의 틀을 깨면 좋겠어요. 원래 제 꿈은 경제도 IT 분야도 아닌 비행기 조종사였죠. 수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도 제 꿈 때문이었는데, 친구들은 그게 신기했었나 봐요. 그 당시 ...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꿈을 심어주는 역할을 계속할 계획이다.”▶ 항공우주 시대로 가는 과정에서 현재 교육에 아쉬운 점이 있다면?“비행기가 날아가는 기본 개념인 베르누이 정리조차 일부 교과서에 없다는 점이 아쉽다. 유체가 흐르는 속도와 압력, 높이 관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이 법칙은 항공기가 나는 원리뿐 ...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지향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독자적이고 전통적인 수학 연구의 성과는 근대적 수학 교육에 흡수되지 못하고 사라졌다.한국 수학의 독자적 학문 체계수학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이라는 특성때문에 흔히 서구 중심의 학문으로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동양에서도 수학은 토목 공사, 호구 조사, ...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초등학교 과정에서 딱 한 번만 나오는 아주 귀한 통조림이 나왔어요. 바로 ‘경우의 수’예요. 도대체 무슨 맛일까 궁금하죠? 어떤 학생들은 맛이 이상하다고 생각해 아예 뚜껑도 안 따고 치워 버릴지도 몰라요. 하지만 딱 한 번만 맛보세요! “아하! 바로 이 맛이었구나~”라고 감탄할 거예요. 지금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