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훈련
가르침
교훈
교시
양성
트레이닝
훈육
d라이브러리
"
교육
"(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비슷하며, 장기의 생리작용도 사람과 유사하다.지노와 지노2의 출생 방식은 동일하다.
교육
과학기술부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은 무균 상태에서 자란 미니돼지 체세포에서 두 개의 알파갈 합성효소 유전자 중 하나를 제거한 다음, 핵을 제거한 일반돼지 난자에 주입해 복제수정란을 만들었다. 이를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입학정책팀장은 “심층면접 방식이 지난2년간 거의 비슷하게 진행돼 이를 대비한 사
교육
이 생길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밝혔다.지난해에는 내신 상위 등급을 받은 과학고 출신 일부가 불합격한 반면, 내신이 우수하지 않은 일반고 학생이 잠재력을 인정받아 최종합격하는 이변이 속출하기도 ... ...
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조선 시대 선비가 골머리를 앓던 문제도 생각해 봐. 어릴 때 쓰던 방법으로 풀리긴 했지만 간단하진 않았지. 그 책에서 소개한 것처럼 다리를 들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도 있겠지만 문제가 조금만 달라져도 같은 방법을 쓸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이 때 미스터리 x님을 써보라고. 주어진 수가 크 ... ...
χ의 대활약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문자를 사용하면 문제를 일반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일반적이라는 것이 뭐냐고? 하나하나의 사실을 다 표현하지 않고 여러 개의 상황을 한 번에 나타낼 수 있는 걸 말해. 그림에서 말하는 상황을 잘 봐.내가 1시간에 4km씩 걷는다고 생각해 봐. 1시간이면 4km를 걸을 수 있고, 2시간이면 8km를 걸을 수 ... ...
수학의 역사와 함께한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이제 나 미스터리 x님이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 알겠니? 고대 수학자는 상상도 못 했고, 중세 수학자들이 그토록 바랐던 것이 바로 나란 말이지.길고 복잡한 문제에 x와 같은 문자와 기호를 사용해 식으로 나타내면 문제가 단순해지지. 문제의 뜻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심지어 문제에 담긴 뜻을 생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은 월식을 정확히 예언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한다. 당시 백성들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은 천문 현상을 하늘의 뜻으로 여겼기 때문에 민심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천문 현상을 잘 예언할 수 있어야 했다.미실이 월식을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밝힌다고?‘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는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이뤄지는 일반 주입식
교육
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생각하고 문제 해결법을 찾아내는 능력을 길러준다. 가장 두드러진 프로그램은 심화 수업이다. 심화 수업에는 조별로 주제를 정하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토론해 ... ...
독해력 향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잘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정보화 시대에서도 필수다. 독해력 훈련 전문기업 ‘차원이동
교육
도시’는 한글과 영어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훈련 프로그램 ‘스피드북’과 무료 독해유창성 진단 테스트 서비스를 홈페이지(www.speedbook.co.kr)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기념해‘2009 세계 천문의 해 기념 별 시 축제’를 연다. 장소는 서울 정독도서관 서울
교육
사료관 앞마당.2009 창원평생학습 과학축전9월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 경남 창원시가 주관하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기념해 한국천문연구원의 찾아가는 천문대‘KB 스타 카’를 이용한 천체관측 프로그램과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3세기경 그리스 수학자 디오판토스는 자주 쓰는 미지수를 기호로 간단히 표현하려고 노력했지. 그는 '수'를 뜻하는그리스 문자를 αριθμσς를 줄여 ς'라고 썼어. 7세기경 인도의 브라마굽타는 미지수를 'ya'라고도 썼대. 디오판토스의 책은 중세시대까지 아주 적은 수의 사람에게만 알려졌어. 그러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