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시험 성적이 100점 만점에 60점을 넘지 않으면 학점을 받지 못하고 고등학교처럼
학과
별로 석차를 매겨서 학생들을 치열한 경쟁으로 내모는 면이 없지 않다. 반면에 교수 1명이 학생 30명을 4년간 담임처럼 맡아 다른 대학보다 꼼꼼한 학업 및 생활 관리를 해준다.현재 칭화대는 단순한 대학이 아닌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2호’. 해저 1만 916m까지 내려간 기록을 가지고 있다.20세기 초, 벨기에 브뤼셀대 물리
학과
교수였던 어거스트 피카르 박사는 다시없는 괴짜였다. 그는 당시로선 미지의 세계였던 성층권에 도전하고 싶어 기구를 제작했다. 높은 곳에서도 숨을 쉴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이 달린 기구 ‘FNRS 1’호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황당맨은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작업복의 색채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박혜원 창원대 의류
학과
교수를 만났다.지금까지 작업복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색채를 이용해 안전성을 높인 연구는 드물었다. 박 교수는 근무지 근처에 있는 산업단지에서 착안해 지난 15년간 의복 디자인의 공공성에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보여준 연구가 발표됐다. 김근수 세종대 물리
학과
교수와 김필립 컬럼비아대 응용물리
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에 다른 물질이 들어갈 때 표면 특성이 어떻게 바뀌는지 시각적으로 보이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나노물질로 지금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얇고 튼튼하다.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제 열심히 노력할 차례다. “매일 뭘 공부할지 스스로 계획을 짜보렴. 컴퓨터공
학과
를 지망한다면 선택 과목은 대체로 물리가 연관이 깊으니 유리할 거야. 더불어 수학도 매우 중요해. 컴퓨터 공부는 일반 공부가 지루하거나 힘들 때 틈틈이 하도록 해. 봉사활동을 하고 있니?” “가끔 하고,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생물을 암기 과목으로 인식한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생물도 다른 자연과
학과
마찬가지로 큰 원리가 있고 흐름을 관통하는 맥이 있다. 단편적인 지식과 생물학적 현상을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에서 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 ...
우주 초기 원소의 고향은 초신성?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우주 초기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대 천문
학과
마츠우라 미카코 교수팀은 유럽우주기구(ESA) 허셸우주망원경의 적외선관측기를 이용해 초신성 1987A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질을 관찰한 뒤, 이 안에 많은 양의 우주먼지가 들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 두 마리를 각각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라고 이름 지었다. 캐나다 맥길대 생물
학과
의 우리스 리페브르 교수는 “이 결과는 파충류와 조류를 비교하기 보다는 도마뱀 종류 사이의 인지능력을 비교하기에 알맞다”며 “아놀리 속의 도마뱀이 다른 종류보다 큰 뇌를 가져 빨리 배울 수 있는 것 ... ...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또 그는 복소함수론의 기초를 정리했는데, 유체역
학과
공기역학에서 유용하게 쓰이던 복소수를 수학의 연구 분야로 분명하게 만든 것이다. 특히 그는 함수의 개념을 오늘날 우리가 배우는 형태로 확장시켜 함수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 ...
팔은 발보다 빠르다! 휠체어 육상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것이 얼마나 큰 차이를 가져오는지 비장애인은 알기 힘들다. 한희창 한신대 특수체육
학과
교수는 “이 차이는 몸을 일으킬 때 허리를 쓰지 않고 일어나보면 알 수 있다”며, “사람은 단순한 동작에도 모든 기관과 감각을 사용하기에 허리의 사용 여부에 따라 운동능력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