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종교에서 과학으로 Ⅱ 그림 속 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림에 식물이 등장하기 시작한 건 기원전 8세기 경 로마시대부터였어요.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식물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지요. 그러다 르네 ... 그린 덕분에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에 따라 분류하는 것도 가능해졌지요. 그 덕분에 훗날 생태
학과
분류학이 발달하는 데 도움이 됐답니다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한성홍 원장입니다. 물리학에서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는 물리
학과
교수이기도 합니다. 저는 2002년 울산대에 영재교육원이 생긴 때부터 지금까지 원장을 맡으며과학계의 인재를 키우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저는 대학에 진학할 때 잘 나가는 과에 가지 않고 사범대를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보여준 연구가 발표됐다. 김근수 세종대 물리
학과
교수와 김필립 컬럼비아대 응용물리
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에 다른 물질이 들어갈 때 표면 특성이 어떻게 바뀌는지 시각적으로 보이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나노물질로 지금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얇고 튼튼하다.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장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보다 평균 5년을 더 살았다. 책의 저자인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하워드 프리드먼 교수는 “(건강에 유해한) 스트레스는 일 자체에 대한 도전과 부담감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충돌에서 야기된다”고 설명했다.하위직으로 갈수록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웃한 연구실에 있던 피터 폴링. 대서양 너머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화
학과
학과
장으로 있던 라이너스 폴링의 아들이다. 라이너스 폴링은 일찍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힌 바 있는 구조 화학의 세계적인 대가로, 만 50세를 맞아 연구 활동의 전성기를 맞고 있었다.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세상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물떼새가 쉬었다 가는 곳이다. 이 지역 새를 연구하는 토미다 히로시 씨(규슈대 생물
학과
박사과정)는 “한국에서 다리에 인식표를 붙인 저어새나 물떼새가 이 곳에서 발견된다”며 “철새의 이동에 중요한 지역”이라고 말했다.이 갯벌들을 지키는 활동에 앞장서는 것도 학생과 주부, 직장인 등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알게 된 에번스 교수는 1978년 케임브리지대 유전
학과
에 자리를 잡은 뒤 발생학자인 해부
학과
매튜 카우프먼 박사와 손잡고 연구에 뛰어든다. 이들은 ICM과 배아암종이 전분화능이라는 특성을 공유하므로 ICM을 시험관에서 미분화된 상태로 배양해 세포주를 확립한다면 배아암종을 대신할 수 있다고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대표적이다. 튼튼한 협력체계를 유지하면서 아시아 과학은 유럽과 미국 같은 선진 과
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고, 많은 과학자들은 아시아를 찾고 있다. 현재 아시아의 이공계 중점 대학들은 나름의 가치관과 시스템으로 과학인재를 키우고 있다. 한국의 GIST는 소수 정예의 인재를 뽑아 미국 ... ...
주먹도끼를 찾아 떠나는 구석기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세계적인 고인류복원 전문가 엘리자베스 데이너스가 인류
학과
해부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주름과 털까지 생생하게 복원했다.약 250만 년 전~120만 년 전큰바위얼굴,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견과류나 뿌리식물 같이 질기고 거친 음식들을 씹기 위해 턱이 발달했다. 턱 근육을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같은 양을 먹어도 더 살찌는 사람이 있을까. 미국 남캐롤라이나대 심리
학과
로베르토 리피네티 교수팀은 낮은 체온이 비만의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리피네티 교수팀은 개 287마리의 직장(直腸) 온도를 측정했다. 개들은 다양한 종에 몸집 크기도 다양했다.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