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아이디어의 기원웜홀을 이용한 시간 여행은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이론물리
학과
교수가 제안했다. 웜홀은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이어주는 일종의 통로다. 우주 시공간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력방정식을 통해 블랙홀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 웜홀의 해 ‘아인슈타인-로젠 다리’를 자연스럽게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고, 2008년에는 미국 이스트캐롤라이나대 음악
학과
죠지 비싱거 교수가 몸통 내 저음의 진동이 아름다운 음색을 만들어 낸다고 역시 ‘네이처’에서 주장하기도 했죠. 같은 해 베렌트 스퇼 네덜란드 라이덴대 교수는 밀도가 중요하다는 주장을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성 의학 연구자 배리 코미사룩 미국 럿거스대 심리
학과
교수. 성과 신경 손상, 통증과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한 지 40년이 됐다. 현재 럿거스대 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킨제이 보고서 틀렸나코미사룩 교수는 여러모로 20세기에 활동한 미국의 성의학자 알프레드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러셀 치오촌 미국 아이오와대 인류
학과
교수와 야디 자임 인도네시아 반둥공대 지질
학과
교수팀은 2001년 4월 인도네시아 자바섬 솔로분지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위턱뼈 화석 ‘Bpg2001.04’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 측정한 뒤, 유럽과 아시아 북부 등 다른 지역 호모 에렉투스 화석과 비교해 그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대화장품’을 발견해 ‘사이언스’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노르웨이 베르겐대 고고
학과
크리스토퍼 헨쉴우드 박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300km 떨어진 블롬보스 동굴 바닥에 묻혀 있던 중석기시대 유물 두 점을 발견했다.유물은 발견 당시 전복껍데기로 덮여 있었고,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야겠지? 다들 왜 그렇게 좋은 대학 물리
학과
를 가려고 할까? 좋은 대학의 물리
학과
에 가면 교수님도 훌륭하지만 여러 가지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 그런데 이런 대학에 못 가면 기회가 줄어든단다.” 현재 대입은 ‘내신+특기’로 이뤄져 있다. 상담 선생님은 내신은 기본이고 ... ...
게임으로 수학 실력 겨룬다,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과거의 방식을 그대로 강요한 탓에 학생들의 학업 만족도가 많이 떨어졌다”며“앞으로
학과
과목에 게임과 영상을 접목시켜 수학·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많이 이용된다. 그는 음악을 즐기면서 좋아하는 천문학을 잘 알려는 욕심으로 혼자서 수
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이때 익힌 수학이 컴퓨터 단층촬영기술의 원리를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한편 수학책이 노벨상의 길로 인도하기도 했다. 199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마틴 펄은 도서관에서 ... ...
진실 넷! 행운의 숫자는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두 같아야 한다. 로또의 공은 정말 무작위로 뽑힐까? 이점에 의문을 품은 전남대 통계
학과
백장선 교수는 ‘검정’ 이라는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이용해 로또의공 뽑기가 무작위로 이뤄지는지를 살펴봤다. 검정이란 어떤 가설이 옳고 그른지 따지는 데 사용하는 통계적인 방법이다. 연구 결과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 예다.바이러스나 기생충이 행동을 조절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미국 펜실베니아대 공충
학과
연구팀은 매미나방 애벌레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바이러스를 연구해 실마리를 찾아냈다. 바이러스에 있는 ‘egt’ 유전자가 애벌레의 변태를 관할하는 호르몬을 비활성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