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뤄지는 무선통신도 엿들을 수 있다. 경기도 평택시 한광고등학교와 대전시 유성구
국립
중앙과학관에서 각각 한 번씩 열린다. 김치와 홍삼차로 한국 알린다ISS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람이 타고 있는 인공위성’이다. 최첨단 우주 기술의 ‘종합선물세트’라고 할 수 있는 이곳은, 고추냉이 튜브가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떨어지면 헤르페스바이러스는 활동을 재개한다. 성가신 존재가 아닐 수 없다. 2001년 미국
국립
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 레오니드 마골리스 박사는 예상치 못한 발견을 했다. 배양한 인간세포에 헤르페스바이러스와 에이즈바이러스를 같이 넣자 에이즈바이러스가 제대로 증식하지 못했다.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삼익피아노의 음질을 개선했을 뿐 아니라 국악기를 개량하는 데 앞장섰다. 특히
국립
국악원의 의뢰를 받아 가야금, 거문고, 징, 꽹과리 같은 국악기가 내는 소리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해 국악기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징이나 꽹과리를 만들 때 어떻게 하면 좋은 음색을 낼지 금속공학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세계적으로 귀한 생물자원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서식지가 개발 위험이 비교적 적은
국립
공원이나 도립공원 등지에 주로 분포하지만 이들의 개체수가 다른 도롱뇽집단들에 비해 적은 수로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 희귀성과 생물학적 가치를 본다면 당연히 보호대상종이나 천연기념물로 선정해야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은주 양은 고 교수의 초대로 두 번의 값진 경험을 했다. 5월에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국립
수산과학원의 연구선인 ‘탐구1호’를 타고 항해하는 해양선상캠프에 참가했다. 심해에서 끌어올린 물을 손으로 만지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느꼈다. 해저 밑바닥의 진흙을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뚜렷하다. 그런데 거울뉴런이 발견된 부위가 바로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이다. 대만
국립
양민대 흐시에흐 옌추엔 교수팀은 2006년 ‘뉴로리포트’에 여성의 거울뉴런이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결국 거울뉴런은 뇌의 영역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셈이다.모방은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세 면이 모두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야. 약 120개의 섬도 속해 있고, 한국에 유일한 해안
국립
공원도 있는 곳이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복잡해.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보다 길어. 특히 갯벌,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이 잘 발달돼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 ...
당뇨가 기억력 떨어뜨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걸리면 기억력이 나빠지는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국립
보건원 마크 맷슨 박사팀은 당뇨병에 걸리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해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그동안 당뇨에 걸린 사람들에게 기억력이 나빠지는 현상이 종종 나타났지만 그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설이 점차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지켜보던 우스 교수는 1990년 역시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발표한 논문에서 좀 더 다듬어진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원계 대신 영역(domain)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다. 우스 교수는 “분자 구조와 서열은 고전적인 표현형보다 진화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하는 단백질의 일부(단백질상호작용 도메인)인 ‘사라’(SARAH)의 3차원구조를 밝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사라는 무도회에서 파트너를 바꿀 때 뻗는 팔에 해당한다.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인 ‘Mst1’은 사라와 쌍으로 결합했다가 헤어진 뒤 팔(사라) 하나를 뻗어 사라와 비슷한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