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누…, 누구세요?”바다를 너무나 좋아하는 노행운 씨. 혼자 배를 타고 낚시를 즐기던 중 거센 파도에 휩쓸려 배가 난파되고 말았다. 불행 중 다행으로 부서진 뱃조각을 잡고 섬으로 떠밀려 살아나게 되었는데…. 간신히 정신을 차려 눈을 떠 보니 눈앞엔 심상치 않은 분위기의 할머니 셋이 떡하니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원인유전자를 찾기로 했죠.”2005년 6월 김 교수가 이 질병에 CMTX5라는 이름을 붙이고 미국
국립
보건원에 등록했을 때는 열렬한 찬사가 쏟아졌다. 1976년 이호왕 박사가 유행성출혈열의 원인병원체를 발견해 ‘한탄바이러스’라고 이름 붙인 이래로 한국인이 지은 병명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는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발생률이 가장 낮고, 암 발병률도 미국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
국립
암연구소가 2003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미국인은 약 640명이 암에 걸리는데 비해, 암에 걸린 인도인은 200명도 안 됐다.인도인이 암 발생률이 낮은 것은 카레 성분 중 커큐민을 선조때부터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물을 연구한다며 실험실에만 있을 수는 없잖아요?”해양수산부
국립
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이하 남해수산연구소) 자원관리조성팀 김잔디 연구원의 일터는 바다다. 그는 1년의 절반은 1.5톤도 안 되는 작은 어선을 타고 바다에 나가 그물로 물고기를 잡는다. 바다에 인공어초를 설치하기 전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박사팀은 모유를 먹었을 때 특정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의 지능지수가 높아진다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11월 5일자에 발표했다.지능지수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지 후천적으로 달라지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돼 왔다. 또한 모유 수유는 후천적으로 지능지수를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잃었다는 상실감은 컸다.낙산사를 불에 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을까?
국립
산림과학원 구교상 박사는 “산불은 물로 끄는 것보다 소화약재로 진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소화약재는 관공서나 집에서 흔히 보는 빨간색 분말소화기와 원리가 비슷하다. 분말소화기에는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경우 유전자가 변할 수 있다.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셰릴 니커슨 교수는 지난 10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우주선에 실려 외계에 나갔다 돌아온 식중독의 병원균인 살모넬라균의 독성이 한층 더 강해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니커슨 교수는 지난해 9월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에 실려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바로 잡고 책을 다시 제자리에 꼽는다.최 단장은 2000년 창의연구단을 시작한 뒤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같은 권위 있는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NER의 과정을 밝혔다. 올해 초에는 ‘유럽연합생화학지’(FEBS)와 ‘광화학과 광생물학지’에 NER을 총괄적으로 정리하는 초청논문을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미국과 일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굵직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미
국립
보건원(NIH)과 국내 줄기세포 동향 조사 연구진이 선정한 2007년 상반기 줄기세포 관련 주요 논문의 제목만 봐도 최근 줄기세포 분야가 도약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선정한 논문 28편을 국가별로 분류하면 ... ...
칼 삼키는 묘기, X선으로 파헤치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시차 적응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는 학술적 가치를 크게 인정받아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소개됐다. 2007 이그노벨상수상자와 업적(10개 부문) ▽의학상 = 브라이언 위트컴(영국 글로스터 왕립의료원)댄 메이어(미국 칼 삼키기 묘기자) ‘칼 삼키기와 그것의 부작용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