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식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수치가 높은 주식거래인이 그날 대박을 터뜨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4월 14일자에 발표했다.코츠 박사팀은 런던 증권사 객장에서 일하는 남성 주식거래인 17명의 테스토스테론과 코르티솔을 8일간 추적했다. 거래 활동을 시작할 때와 끝낼 때 이들의 침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만드는데 관여하는 촉매인 효소를 배워보라고 하시더군요.” 이렇게 해서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저명한 효소학자 얼 스테트만 박사 실험실을 찾아간 이 교수는 그 뒤 2005년 귀국할 때까지 35년을 NIH에 몸담게 된다.이 교수는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에 걸쳐 ‘포스포리파제 C’라는 효소의 구조와 ... ...
시각장애인, 촉각기술로 글씨 쓴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결과 전혀 글씨를 쓰지 못했던 어린이들이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글씨를 쓸 수 있었다.
국립
대만대 추 하오후아 교수팀은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이 닦기 게임을 선보였다. 게임 대상은 칫솔질이 서투른 유치원생 나이대의 어린이다.추 교수팀은 각 면에 센서가 3개씩 달린 직육면체를 칫솔 끝에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몰두, 유전자와 염색체의 관계를 발견했다1943년 콜드스프링 하버 연구소원, 45년
국립
과학원 여성회원에 선출되었으며 46년에는 여성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미국 유전학회 회장이 되었다67년 미국 과학원이 수여하는 컴버 유전학상을 수상했으며 81년에는 앨버트 라스커 의학연구상을 수상했다83년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보여주는지도 디지털 복원의 성패를 좌우한다. 페르세폴리스의 경우 4월 22일부터
국립
중앙박물관의 특별유물전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에서 대중에 공개된다. 디지털로 복원된 페르세폴리스의 옛 모습을 만나보자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1억 4000만 년 전 백악기의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 부산에서 다시 우뚝 일어섰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부산으로 달려왔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공룡이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걸까요?명예기자 친구들과 함께 만나 본 다시 일어선 우리 공룡‘천년부경룡’을 소개합니다~.천년부경룡의 이야기안녕? 난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지방조직에 지방을 축적시킴으로써 비만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4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결과는 공생세균과 같은 환경요인이 숙주의 에너지 저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사례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또한 연구팀은 비만생쥐와 정상생쥐의 공생세균의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잘날라 운송이랍니다. 목재가 툭~ 부러졌다고요?2006년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열린‘리히터와 펭크’전에 전시된 목조 작품입니다. 해외에서 운송 중 작품의 연결 부분이 떨어져 버렸죠. 이 때 독일인 전문가와 협의해 한국에서 작품을 복원했답니다.목재 등 가볍고 약한 부분을 ... ...
나방 '올챙이 적 생각' 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자극 간의 관계를 기억할 만큼 뇌가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미국
국립
유아건강연구소 마크 스토퍼 박사는 이번 연구에 대해 “기억이 만들어지고 보존되는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단서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 ...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있어 동상 4명, 장려상 3명으로 결정됐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
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