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sos! 고래는 지금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8호
- 꼭 필요하답니다. 친구들도 바다에 나가면 눈을 크게 뜨고 고래를 찾아보세요!" 안용락(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수산연구사)향고래 소식 인간은 내 친구향고래몸길이 18m, 몸무게 57톤으로 이빨고래류 중 가장 크다. 깊은 바다에서 살며 동물 중 몸길이에 비해 머리 비율이 가장 크다. 난 네모난 ... ...
- 송도의 공부벌레들과학동아 l2008년 08호
- 5월 초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이길여 암·당뇨연구원’이 문을 열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수석연구원이었던 김성진 박사를 원장으로 영입했을 뿐 아니라 미국 시카고대 전희숙 교수, 하버드대 김영범 교수, 플로리다주립대 오석 교수, 예일대 최철수 교수 등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8년 07호
- 프로젝트’팀에는 사상의학에 푹 빠진 베트남 의사가 한 명 있다. 베트남 국립하노이의대를 졸업한 팜 죽 주옹 박사다. 그는 사상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지난 3월 한국 유학길에 올랐다.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김종열 박사가 그의 지도교수다.베트남 ...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빠가빠가~.”오늘도 어김없이 들리는 이상한 소리에 잠을 이룰 수 없는 나소심 군. 집 뒤를 흐르는 강에서 언제부턴가 이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소심하기로는 세계 일등인 나소심 군이라 이렇게 두려움에 떨며 잠을 못 이루다간 병이 날 것 같다. 오늘 밤엔 기필코 소리의 정체를 밝혀 내리 ... ...
- 물 속과 물 밖, 양쪽에 알 낳는 개구리 발견과학동아 l2008년 07호
- Dendropsophus ebraccatus, 아래 사진)가 물 속에도 알을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9일자에 발표했다.타우천 박사팀은 광대청개구리의 주 서식지인 파나마에 있는 연못 세 곳을 조사했다. 그 결과 그늘진 두 곳에 사는 개구리들은 연못가에 사는 식물 위에 알을 낳는 반면, ...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부리가 좁고 많이 벌어지지 않는다면 벌레를 놓치기 쉬울 것이다. 조류학자인 국립환경과학원 박진영 박사는 “제비의 부리는 옆에서 보면 짧지만 정면에서 보면 넓적하게 생겼고 크게 벌릴 수 있어 벌레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며 “부리 옆에는 빳빳한 털이 나있어 비행 중에 여기에 걸린 ... ...
- 해조류가 스트레스 받으면 구름 낀다과학동아 l2008년 06호
- 교수는 대형 갈조류인 켈프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날씨가 흐려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6일자에 발표했다.맥피건 교수팀은 심해에 사는 켈프가 많은 지역의 대기에는 다른 곳보다 산화요오드 농도가 높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켈프가 빛에 ...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아프리카 대륙 동쪽 인도양 한가운데에 있는 섬 마다가스카르. 이 섬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이지만, 지구상에 있는 5개 대륙과 남극대륙에 이어 ‘제7의 대륙’이라고 불린다. 그 이유는 세계 어떤 곳에서도 볼 수 없는 특이한 생물이 마다가스카르에 많이 살기 때문이다.약 1억 6000만 년 전 아프 ...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산발성 CJD 같은 질병에 걸린 사람의 뇌를 먹어 발생했다고 추측했다. 실제로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3일자에는 쿠루를 일으킨 프리온이 산발성 CJD의 프리온과 가장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1980년대 중반 광우병이 처음 보고되고 약 10년 뒤에 인간 광우병이 발생했다. 소의 변형 ...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많다. 그러니 온도가 높아지면 한지성 나비가 북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최근 국립산림과학원 권태성 박사와 나비학자 김성수 선생은 과거 자료가 있는 광릉(1950년대)과 파주 고령산(1970년대)의 나비를 조사해 이런 경향을 확인했다. 즉 과거에 비해 종별 밀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5종 가운데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