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서경대 컴퓨터과
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과
학과
는 20여년 만에 입학 정원 80명과 각 분야 전문가인 전임교수진 12명으로 구성된
학과
로 성장했다. 7개 연구실에서 정부 및 민간 분야의 각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PC 실습실에서는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교육한다.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 ...
분자 촉매 및 반응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반응공학이나 촉매는 화학반응의 근간을 이루는 내용이다. 따라서 공대의 화학공학계열
학과
에는 거의 대부분 이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기업체의 연구소도 있지만, 기업들이 각 대학의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서울대의 경우 화학생물공학부에서 연구를 진행할 ... ...
첫 경험은 늦는 게 좋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게 괜한 걱정이 아니라는 연구가 나왔다.페이지 하든 미국 텍사스대(오스틴) 심리
학과
교수는 청소년이 처음 성경험을 하는 시기가 어른이 된 뒤의 연애 생활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했다. 첫 성관계 시기는 이른 시기(만 15세 이전), 중간 시기(15~19세), 늦은 시기(19세 이상)로 분류했다.예상대로 늦은 ... ...
그는 왜 냄새를 맡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있다는 연구결과를 2011년 발표하기도 했다.2011년 아드리안 레인 미국 펜실배니아대 범죄
학과
교수팀은 사이코패스를 진화심리학적으로 풀어보려는 시도를 했다. 사이코패스가 장기적인 인간관계, 정서적 공감능력을 잃어버린 대신 현대 사회에 요긴한 피상적인 매력, 남을 조종하는 능력을 얻은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것일까요. 오히려 거리가 더 멀어진 건 아닐까요. 조지 아멜라고스 미국 에머리대 인류
학과
교수가 “농경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잘못”이라고 평한 것은 아마 이런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유전학으로 다시 평가 받은 농경 문화 하지만 농경이 인류에게 잘못된 만남이기만 했던 것은 아닙니다.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영향을 끼치고 비만과 당뇨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어떨까. 권훈정 서울대 식품영양
학과
교수에게 MSG가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물었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특정 아미노산만 많이 먹었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질까였다. 아무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라고 해도 과도하면 탈이 생기지 않는가.“몸 안에 ... ...
수학으로 팡팡! 애니~팡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❹ 테트리스, 알고 보면 어려운 고등수학 문제다?!미국의 매사추세츠공대의 컴퓨터공
학과
과학자들은 테트리스 게임이 ‘NP-하드’문제라고 결론을 내렸다. P문제는 쉬운 문제로,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을 어떤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면 NP문제는 문제에 대한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 ...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들어보고 싶은 욕심이 앞서 방법을 고민하던 중 낭보가 전해졌다. 서울대 식품영양
학과
학생들이 지난 10월 8일 기능성 음료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 것. 수소문해 자료를 입수한 기자. 서울대 재학생 30명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내용에 눈이 번뜩 떠졌다(자료를 제공한 학생에게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포함해 총 10개다. 물리학상은 포니테일의 움직임을 분석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론물리
학과
연구팀이 가져갔다. 과학동아 9월호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에서 소개한 ‘커피를 들고 이동하는 도중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유체역학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했을 때 구겨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이치다.폴 차이킨 미국 시카고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입체 결정구조에서 발생하는 결점을 스스로 고치는 방법을 발견해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 9월 3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입체 결정의 표면 중 2개의 흠집이 난 곳 사이에 특별히 만든 레이저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