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근본적인 한계때문이다.그런데 2004년 야곱 베켄스테인 이스라엘 히브리대 이론물리학과 교수가 해법을 발견했다.베켄스테인 교수는 중력의 근원이 중력 양자만이 아니라 스칼라 입자, 벡터장에 의한 것이라는 TeVeS(Tensor-Vector-Scalar gravity) 이론을 고안해냈다.아래 설명은 좀 어렵지만 수정뉴턴역학을 ...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무엇보다, 저명한 인물이 여럿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가장 유명한 건 노암 촘스키 언어학과 교수. 비록 노구여서(올해 86세) 함께 말춤은 못 췄지만, 차를 한 잔 홀짝이고는 ‘오빤 촘스키 스타일’이라고 말해 이 뮤직비디오의 클라이맥스를 이뤘다.뮤직비디오에 출연한 촘스키 교수와 그 모습을 ... ...
- 잠 못 드는 밤, 어둠이 싫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사람들은 어둠에 특별히 예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캐나다 라이슨대학교 심리학과 콜린 카니 교수팀은 대학생 93 명을 대상으로 불면증과 빛에 대한 민감성을 조사했어요. 실험 참가자들은 잡음이 흘러나오는 헤드폰을 쓰고 어두운 곳과 밝은 곳에 있었어요. 그 결과 밝은 곳에서는 아무리 ... ...
- 저선량 방사선은 몸에 좋다? 나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해롭다는 연구가 ‘생물학 리뷰’에 실렸다. 티모시 모소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이란, 케냐, 프랑스 등 46개 연구를 모아 살펴본 결과 “돌연변이나 면역학 상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호메시스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당분간 저선량 방사선을 둘러싼 논쟁은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부자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더 건강하고 오래 산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월급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이 나뉘는 것은 진화의 결과다? ... 않다. 오늘날의 소득불균형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줄이는 노력은 법과 제도 외에 과학과 의학에서도 급박하다 ... ...
- 베이징인과 야쿠자의 추억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쓸 수 있었다면 그만큼 지금의 인간의 모습에 가까워지지요.특히 수잔 안톤 뉴욕대 인류학과 교수가 밝힌 내용은 흥미롭습니다. 베이징인이 저우커우뎬에 살았던 때는 빙하기 중 추웠던 기간인 아빙기(stadial)가 아니라, 조금 따뜻했던 아간빙기(interstadial)였다는 내용입니다. 더구나 이곳에서 발견된 ...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과학을 더 연구했으면 좋겠어요.” 행사에 참석한 5명의 학생 중 3명이 여학생이었다. 학과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공대에 여학생이 1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정 교수는 여학생도 공대에서 얼마든지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며 공학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 ...
- 수학 문제만 보면 머리가 아픈 이유는?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실제로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두통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시안 베일록 교수 연구팀은 뇌 활동 상태를 촬영하는 기능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해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기능자기공명영상 장치는 ... ...
- 수학 능력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동작인식 게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향상시켜 주는 동작인식 게임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영국 옥스포드대 실험심리학과 로이 코헨 카도쉬 교수 연구팀은 몸을 움직여 화면에 표시된 선분 위에 특정 지점을 표시하는 동작인식 게임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화면에 ‘선분 위에 2/9가 되는 지점을 표시하시오’라는 명령이 나오면, ...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수학동아 l2012년 12호
- 경우도 많습니다. 또 반대로 문과 중에서도 경영학과처럼 수학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학과도 있구요. 그래서 이미 7차 교육과정에서 문이과 구분을 없앴습니다. 그런데도 학교 현장에서는 이것이 실천되고 있지 않아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하루 빨리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