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음료나 음식으로 사용됐을 거라고 믿고 있지요.역사학자인 김복래 안동대 유럽문화학과 교수가 쓴 ‘프랑스가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커피가 에티오피아에서 900년쯤에야 처음 ‘발견’됐다고 나와 있어요. ‘위키피디아’의 ‘커피 역사’ 항목은 900년대 발견설조차 의심스럽다는 투로 말하고 ...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좋은 결과를 내면 교수가 되는 거예요. 저는 교수를 꿈꾸진 않았어요. 물리가 좋아 물리학과에 입학했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재밌어서 전공을 바꿔 대학원에 가고 계속 재밌는 것을 찾아 연구하다보니 여기까지 왔어요. 잘하지는 못했어요.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주어진 문제를 풀어서 답을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것이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많습니다. 이 때 저는 ‘학과에 따른 선택법’으로 얻은 결론에 따르기를 권장합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중·고등교육과정은 고차원의 사고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보통 수준의 지능만 갖고 있다면 노력으로 극복 가능합니다. 공부의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여학생에게 불이익을 준 것이 아니다. 합격자 수만 보면 경쟁이 치열한 한의예과와 경영학과 모두 남자보다 여자 합격자가 더 많다.이처럼 전체 통계와 세부 통계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심슨의 역설’이라고 한다.대통령 선거에서도 일어나는 심슨의 역설심슨의 역설은 영국 통계학자 에드워드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다. 2007년 네이처 자매지인 ‘유럽임상영약학저널’에 실린 폴 애플바이 옥스퍼드대 의학과 교수팀의 연구 결과다. 이 연구는 칼슘을 대상으로 했다. 20~89세의 영국인 남녀 3만 4696명을 육식자, 페스코, 완전채식인(비건), 채식인(락토오보)로 나눈 뒤 5.2년 동안 칼슘 섭취량과 뼈 골절 사고 발생률을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이론은 위상수학에서 출발했지만, 불연속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로 생물학과 사회·심리학 등 다른 학문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어떻게 탄생한 걸까?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창시자, 르네 톰과의 가상 인터뷰를 지금부터 시작한다.Q.르네 톰, 대체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왜 ...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상세한 설명으로 튀는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크리스 임피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학과 교수의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다. 임피 교수는 우리나라에 번역돼 있는 몇 안 되는 우주생물학 입문서인 ‘우주생명오디세이’의 저자로, 우주와 생명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대표적인 박학자다. ...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홀거 뮬러 미국 UC버클리 물리학과 교수는 물질파의 진동수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이언스 1월 10일자에 발표했다. 모든 물질은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지닌다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질량을 이용해 시간을, 거꾸로 ... ...
- 스타워즈의 ‘옥에 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주 인상적인 이 장면이 사실은 옥에 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라이스터대 물리학과 석사 과정에 재학중인 학생 네 명은 우주선이 광속에 가까워질 때 전방에 보이는 실제 모습을 계산해 논문으로 작성했다. 이 논문은 창의적인 연구를 독려하기 위해 학교에서 발행하는 ‘독특한 물리학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역시 ‘인재’다.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건축물을 지을 때 보통 건축법과 소방법을 따르지만 건축 전문가와 소방방재 전문가가 보는 시각은 다르다”며 “공간을 보다 상업적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건물주의 욕심이 인명 사고를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