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분위기 결정하는 도형 구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드립니다! 필자소개이은진 교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영상대학원을 졸업한 뒤 엔씨소프트와 넥슨에서 리니지2, 길드워2, 마비노기 영웅전 등의 게임 개발에 참여했다. 경기콘텐츠진흥원에서 경기게임아카데미의 전임 교수로서 인디게임 개발사의 교육과 창업지원을 총괄했다. 현재는 ... ...
-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지만 스메일 교수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사리 박사학위를 받은 뒤부터 빛을 발하기 시작했죠. 역사적인 난제인 ‘푸앵카레의 추측’이 5차원 이상에서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해 수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 업적으로 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습니다.스메일 교수는 필즈상 시상식이 열린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명공학자들은 이를 활용했다. 바이러스의 DNA나 RNA 일부분을 원하는 유전자로 바꾼 뒤 숙주세포에 넣어 이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유전자와 교체하면 어떨까. 바이러스를 유전자 운반체로 쓰는 것이다. 이게 바로 바이러스 벡터다. 바이러스 벡터 개발과 가장 관련 깊은 바이러스 종은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에 따라 1969년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들은 지구로 귀환한 뒤 밀폐된 오염물질 제거실에서 3주를 보내야 했다.2024년까지 다시 한 번 유인 달 착륙을 계획 중인 NASA는 2020년 5월 새롭게 만든 규정에도 이와 같은 안전 조치를 포함하며,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일원이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를 무사히 탈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만약 숙주세포 내에서 완전히 성숙한 상태가 된 뒤 세포를 빠져나가려고 한다면, 껍질을 감싼 외피 단백질 표면의 당단백질 등이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어 숙주세포를 빠져나가기는커녕 되려 빨려 들어갈 수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분사해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마사 체이스와 함께 역사에 길이 남을 실험을 했다. 박테리오파지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은 단백질을 황 동위원소(35S)로 표지하고, 다른 한 그룹은 DNA를 인 동위원소(32P) 표지한 뒤, 두 그룹을 대장균에 감염시켜 박테리오파지를 복제했다.이들은 박테리오파지를 감염시킨 박테리아 현탁액을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적은 암 치료법으로도 주목받는다. 암세포와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에 항암제를 결합한 뒤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제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해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쾰러와 밀스테인은 단일클론항체를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에 대해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메더워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피부를 이식한 뒤 변화를 살폈다. 당시 연구자들은 유전자가 100% 같은 일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이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두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