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고민하지 않고 답할 수 있는 질문들이었다. “꽤 분명한 검사 결과가 나왔네요.”잠시
뒤
김재형 한국MBTI연구소 연구부장이 기자의 검사 결과를 보며 말했다. 김 연구부장은 “특히 내향성(I)과 사고적(T)의 성향이 매우 뚜렷하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당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주는 검사MBTI는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에 의혹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현재 UAE 정부는 ‘100년
뒤
화성에 도시를 건설한다’는 슬로건을 통해 정부의 화성 탐사의 의지를 확실하게 인지시키고 있다. 이는 꼭 UAE 국민이 아니더라도 언젠가 인류가 화성에 처음 발을 디딜 때 UAE가 기여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지명을 따 이름을 짓는다. 태양계 나이, 아옌데 운석으로 확인진주 운석이 발견된
뒤
최변각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이 운석을 분석했다.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으로 운석의 나이를 측정하자 45억9700만~44억8500만 년 전에 생긴 물질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후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답장을 받기까지 4~5일이 걸린다. 그런데 이번에는 고작 4분(!)만에 답장이 도착했다. 그
뒤
엔 심지어 논문을 보내기 전부터 논문을 검토해줄 전문가들이 섭외돼 있었다. 전 세계 가장 정밀한 유전체 지도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나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유전체 지도 중 가장 정밀한 지도라는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알게 됩니다. 그러나 혼자서 세상을
뒤
집을 수는 없죠. 쇼고의 죽음으로 추격전이 끝난
뒤
에도 아카네는 언젠가 시빌라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사람이 나올 거라며 경고합니다. #3. 감시관으로 활동하던 아카네는 마키시마 쇼고라는 인물에 관해 알게 된다. 쇼고는 여러 사건의 배후에 있는 악명 높은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증상을 보인 44세 남성 환자였다.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생각해 입원했던 이 환자는 며칠
뒤
코와 잇몸 등 온몸에서 피를 쏟아내며 사망했다. 이후 이 환자와 접촉했던 사람들이 연이어 사망했다. 환자가 찾아갔던 병원의 간호사들, 가족, 그리고 그의 시체를 만진 사람들이 잇달아 비슷한 증상을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설이 ‘세포탈출설’이다. 세포탈출설은 세포의 유전물질 일부가 세포를 벗어난
뒤
특정 효소와 단백질을 얻으면서 바이러스가 됐다고 설명한다. 소아마비의 원인이 되는 폴리오바이러스, 모기와 포유동물을 오가며 생활하는 신드비스바이러스 등의 RNA 구조가 세포에 있는 전령RNA(mRNA)와 매우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 조각을 먹은
뒤
항원의 특징을 담은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성숙시킨
뒤
림프절로 이동한다. 림프구에 알려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다. 림프절로 이동한 수지상세포는 먼저 T림프구를 불러내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T림프구와 B림프구에게 항원 정보를 교육해 효과적인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초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
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적은 암 치료법으로도 주목받는다. 암세포와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에 항암제를 결합한
뒤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제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해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쾰러와 밀스테인은 단일클론항체를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에 대해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