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외에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감염자의 80% 이상은 아무 증세를 보이지 않고 2주
뒤
체내 바이러스가 자연스레 소멸된다. 나머지 감염자들 역시 가벼운 발열이나 발진 증세만 보일 뿐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7년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도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큰 관심을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명공학자들은 이를 활용했다. 바이러스의 DNA나 RNA 일부분을 원하는 유전자로 바꾼
뒤
숙주세포에 넣어 이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유전자와 교체하면 어떨까. 바이러스를 유전자 운반체로 쓰는 것이다. 이게 바로 바이러스 벡터다. 바이러스 벡터 개발과 가장 관련 깊은 바이러스 종은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분사해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에이즈 바이러스의 최초 발견자로 보도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런데 9개월
뒤
갤로 연구팀이 발견한 HTLV-3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몽타니에가 발견한 LAV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해당 바이러스는 변이 속도가 굉장히 빠른 바이러스이기에 염기서열이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인식한
뒤
스스로 바이러스를 공격할 수 있도록 분화하고, B세포는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그중 일부는 기억세포로 분화하며 추후 동일한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을 빠르고 강력하게 일으킬 수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로가 50m인 표본 지역 ‘방형구’를 정했습니다. 나무를 줄로 이어 방형구를 표시해둔
뒤
일정한 기간마다 와서 내부를 수색해 개구리가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동시에 녹음기를 설치해 개구리가 짝을 찾을 때 내는 울음소리도 녹음했지요. 녹음기가 1년간 잘 작동한다면 번식기를 알 수 있을 겁니다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EAV-3가 날 수 있는 하늘 공간의 가장 앞에서 비행하기 시작하면,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에
뒤
로 밀리더라도 결국 성층권까지 오를 수 있겠죠. 용어정리* 제트기류 : 고도 10km 부근에서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현상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예측한다고?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기계학습에서 많이 쓰는 학습 모형을 이용해 총 8개의 예측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런
뒤
결과의 평균값으로 도시가스 사용량을 예측했습니다. 이런 통계 방법을 ‘앙상블 모형’이라고 합니다. 나민원 수리연 산업수학혁신센터 연구원은 “문제를 푸는 데 적합한 통계적 방법과 모형을 선정했고, 그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빠르고 효과적인 실종자 수색을 위해 수학적인 분석을 활용하는데요, 최근 생존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기존의 수색 구조 모형은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