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같은 해 국제 인공지능 스타크래프트 대회가 곧바로 열렸다. 처음에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세계인공지능학회(AAAI) 등 국제적인 학술단체가 주최하는 학회의 특별행사로 열리기 시작해 현재는 학회의 어엿한 주요 분야가 됐다. 전세계에서 15~20개 팀이 해마다 참가를 하고 있다. 세종대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본적인 전기 현상을 탐구하고 개척하는 것에서 큰 보람을 느낍니다.방준휘 전기․정보공학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정윤찬 레이저 같은 학생이 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방준휘 정확한 학생을 말씀하시는 건가요?(웃음)정윤찬 제가 레이저를 좋아하는 이유는 레이저가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다니던 1992년부터 그래픽 머드 게임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전 컴퓨터공학을 공부했는데 윈도우 같은 운영체제나 한글프로그램 같은 오피스는 이미 저보다 잘 만드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컴퓨터 게임에서도 마찬가지였지요. 미국이나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모든 면에서 앞섰습니다. ... ...
- [과학뉴스]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투명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하버드대 공학및응용과학대 데이비드 클라크 교수팀은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옵틱 레터스’ 3월 15일자에 발표했다.투명도를 조절하는 창문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화학적인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패배한 순간, 안타까움을 넘어 불안과 불쾌함이 엄습했다. 불쾌한 골짜기는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간단한 자동화 로봇이나 영화 ‘그녀’ 속 사만다 같은 완벽한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느끼지 않지만 그 중간에서 어설프게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없다는 주장도 있다. 기자는 1년 여 전 인공지능 기사를 위해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당시 그는 “지능이 창발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는, 기계가 우연히 내놓은 결과를 인간이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에 불과하다”며 “그러나 다른 방법을 통해 인간의 지능처럼 ‘보이는’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특성을 갖는지 아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플라스마를 화학 또는 기계, 항공우주공학과 결합하는 실력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거라고 봅니다.Q 잘 알려지지 않은 플라스마를 주제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은 없나요?2001년 회사를 처음 창업했는데, 되돌아보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다는 건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충격의 3연패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첫 대국 결과는 예상을 뒤엎고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측했던 것과 다르게 경기는 팽팽하게 진행됐다. 알파고는 5개월 전 유럽 바둑 챔피언 판후이 5단과 대결할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세돌 9단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행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리과학과 학생이라고 해서 꼭 수학 전공 과목만 들을까? No!학생들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 등 자연과학 과목들도 함께 공부한다. 이와 함께 꼭 수강해야 하는 것이 화학실험 같은 실험 과목이다. 화학실험 수업의 조교를 맡고 있는 상호는 미리 실험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데 잠시 쉬러 들른 휴게실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돌들을 채워 경우의 수를 줄인 뒤 완벽한 승리를 노린 것이다.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알파고가 1국이 끝나기 30분 전에 승리 메시지를 보고했다고 하는데, 그 시점에 바둑이 해결된 문제에 접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알파고의 단조로운 학습 구조가 문제라는 의견도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