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현주 교수팀은 암과 관련이 많은 유전자를 찾아내는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전체를 짧은 길이로 무수히 쪼갠 DNA 조각으로 나눠서 얻은 빅데이터를 이용했다.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는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해군수중전투연구센터의 제스 벨든 박사와 미국 유타 주립대 기계항공우주공학과의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간세포가 괴사하거나 위와 쓸개가 비대해지는 증상이 나타났다.조경현 영남대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2012년 독성실험에 많이 쓰이는 어류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폐뿐만 아니라 심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살균제로 죽은 제브라피쉬를 해부한 결과,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시 대한민국 공군작전사령부인 경기 평택의 오산공군기지에서 만난 민경은 GIST 환경공학부 교수가 걱정스러운 얼굴로 말했다. 이날 기자는 ‘한미 협력 대기 질 연구(KORUS-AQ)’를 위해 한국에 들어온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연구용 항공기 ‘DC-8’을 타기 위해 와 있었다.KORUS-AQ는 NASA가 다른 국가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실제로 기자가 얼굴의 표면 근전도 신호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팀 개발)를 타려고 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데에만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생체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인공지능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MISSION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어포일이 손상됐을 때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보고 싶다”며 “항공우주공학과로 진학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에디슨 SW활용 경진대회는 매년 열린다. 작년까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했는데, 3월에 열린 올해 대회부터 고등학생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조 센터장은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정된 먹잇감 가운데 무엇을 주식으로 삼느냐는 야생에서의 생과 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이 선택에 따라 몸은 물론, 사회구조와 행동양식도 바뀐다. 야생의 생존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원숭이들의 먹잇감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자.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당장 오늘 점심에 무엇을 먹을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해 필요한 배경지식이 달라 애를 먹곤 한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저를 비롯한 로봇공학자들은 인체 친화적인 재료로 전극을 만들어서 신경 다발에 찔러 넣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의사 선생님 말이, 신경 다발이 잘 안 뚫릴 거라는 거예요. 이해가 안 갔죠. 수술 장면을 직접 보니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배울 수 있고 인공지능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는 “단순히 기존의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기록하고 있는 모든 정보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되고 있다. 또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는 가치뉴스에서, 길거리 광고에서, 어디서나 빅데이터란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름만 봐서는 큰 데이터,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