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자리를 앗아갈 것이라는 낭설이 파다했다. 그날 기자는 남범석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를 만나기 위해 울산으로 향했다.빅데이터의 경제성에 슈퍼컴퓨터의 속도를 합치면?새롭게 등장한 알파고는 다섯 달 전보다도 훨씬 놀라운 모습이었다. 매일 3만 판, 한 달에 100만 판에 이르는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아는 소설가라고 인정해 주네요.”김 작가의 이력은 매우 특이하다. 대학에서는 신소재공학을 공부했고, 우리나라 경제 발전을 위해 연구하는 한국개발연구원에서 6년간 일했다.“과학 기술과 관련된 소설을 쓰고 싶어서 공대에 갔어요. 무슨 근거 없는 자신감인지 모르지만 당시에 글은 쓰면 잘 쓸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어왔지만 유전자 전체, 게놈 단위의 설계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승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이를 ‘서고 정리’에 비유했다. 서고에 어지럽게 널려 있는 책들 중 논문을 쓰는 데 필요한 책을 선별하고,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책을 순서대로 정리한 셈이다.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고등 생명체든 합성생물학이 인류에게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생명공학의 놀라운 발전을 찬양하기에 앞서 첨단의 과학기술 문명이 과연 인류에게 얼마나 필요하며 허용돼야 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조절이 쉽지 않다.대안은 결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실천이다. 김용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산업체에서 질소화합물 배출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과 실천도 무척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질소발자국이 큰 물건을 구입하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미국 ...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용어로, 원래 있던 것으로부터 파생됐다는 뜻이다. 우주기술은 IT, 항공, 기계, 재료, 인체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생 기술을 낳고 있다. 오늘날 우주 탐사의 배경에는 우주의 환경을 알아내고 생명체의 기원을 밝히는 과학적인 목표 외에 이런 기술, 산업적인 전략이 숨어 있다.Mission1. 스핀 오프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선택했습니다. 막연하게 과를 선택하다 보니 제 적성과 너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의공학으로 전공을 바꿨습니다. 보통은 학과를 선택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나 연구주제를 찾는데, 그럼 저처럼 전과해야 할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웃음). 현재 인기 있는 과나 주목 받는 분야에 너무 ... ...
- [수학뉴스]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3차원 지형을 정밀하게 표현해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지요.지난달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유선철 교수팀은 바닷속에서도 수밀리미터 단위까지 정밀하게 이동이 가능한 수중 촬영로봇 ‘싸이클롭’을 개발해 국내 최초로 3차원 해저 지형도와 실사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싸이클롭은 다른 ...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_수학아카데미 반장 김제원 한의사수학아카데미는 2008년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연구교수의 입자물리학 강의로 시작됐다. 강의를 듣던 한 백북스(독서모임) 회원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제대로 알 수 있게 고등학교 수학부터 가르쳐달라고 제안했고, 이 교수가 이를 수락하면서 현대 ... ...
- [과학뉴스] 곤충 다리의 천연 ‘깁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아래 몸을 감싸는 단단한 조직으로, 근육이 붙는 골격이다.아일랜드 트리니티대 재료공학과 데이비드 테일러 교수팀은 사막 메뚜기의 다리가 부러졌을 때 큐티클 붕대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다치기 전 다리 힘의 66%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포식자를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