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 중 CGT를, 사람은 CGC를 많이 사용하는 등 빈도의 차이가 있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분야다.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결합을 이용해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센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에서는 특정 화학반응에 필요한 효소를 찾기 위한 바이오센서를 개발 중이다.효소의 최종산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유전자와 녹색형광단백질(GFP) 유전자를 합성하면 이같은 바이오센서를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것의 정체는 다름 아니라 10분 전에 주방 옆 화장실에서 그녀가 보고 온 볼일의 생화학공학적 재처리 결과물이다. 보고 있기만 해도 태곳적 동물 시절부터 인류가 10만여 년 동안 유전자 위에 차곡차곡 쌓아온 모든 원초적인 금기와 터부, 원시적인 미신과 상징,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후천적으로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일에는 숨은 배후, 일꾼들이 있다. 알파고의 특출난 등장, 세상을 바꾼 놀라운 플라스마 공학, 신비로운 물리학, 그 배후에는 모두 사람, 그리고 사람에 대한 믿음과 투자가 있다. 과학동아도 예외가 아님을 독자들이 아주 잠깐이라도 생각해 준다면, 아마 모두 봄처럼 기뻐할 것이다 ... ...
- [과학뉴스]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방향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석 컴퓨터’가 개발됐다. 미국 UC버클리 전기공학과 제프 보커 교수와 홍정민 연구원은 자성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의 자기 메모리 칩을 개발해 3월 11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자기칩은 처음으로 ‘란다우 ... ...
- [과학뉴스] 세상의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3월 9일 오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의 장관이 펼쳐졌다.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의 폭은 155km에 불과했다. 안타깝게도 서울에서는 오전 10시 10분부터 1시간 9분 가량 태양의 3.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밖에 볼 수 없었다.개기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난 몇 주 동안 전세계는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에 감탄하고 또 큰 충격을 받았다. 딥러닝으로 무장한 인공지능은 예상보다 훨씬 강력했고, 사람이 생각하지 못한 묘수를 보여주며 승리를 거뒀다. 혹자는 알파고의 승리가 강력한 인공지능 시대의 서막이라고 이야기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높은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심지어 지나친 믿음으로 손해를 본 사람도 있었죠.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배신은 뇌의 생물학적인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이런 옥시토신의 강력한 효과 때문에 옥시토신 스프레이가 판매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까지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당시 미국의 한 금융회사를 운영하는 기업가였어요. 하지만 알고 보면 그는 항공우주공학을 공부하고 NASA에서 화성탐사선을 만들던 과학자였지요. 티토는 NASA에서 일하던 시절부터 우주여행에 대한 꿈을 꿨지만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았어요. NASA에서 5년을 일하고 나온 티토는 금융사업가로 ... ...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도하는 방향으로 걷는 초소형 바이오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일리노이대 생명공학과 라시드 바시르 교수팀은 빛을 비추는 방식으로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