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다시 써야 하는 대단한 발견이지만, 단지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에너지를 아주 정확히
측정
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아직 결론을 내리기는 이르다”며 “테바트론과 LHC의 자료가 더 쌓여야 확실히 알 수 있다”고 말했다 ... ...
실험으로 이론을 확인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을까?’라는 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의 답은 바로 튀어나왔습니다. 입체적 공간을 나눠
측정
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2차원 평면적 실험 후, 3차원 공간적 실험에 대한 생각이 바로 연결된 것입니다.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싶습니다. 여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교실에는 곧 에어컨을 켤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단위 : 켈빈(K)0K은 이상 기체의 부피가 0이 되는 온도를 말해요. 0℃는 273.15K와 같아요.
측정
기로 온도를 재 봤어요! 전류의 단위 : 암페어(A)전기에너지가 흐르는 것을 전류라고 해요. 이런 전류 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암페어(A)예요. 이 기계는 오른쪽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 전기가 생겨 ... ...
[수학을 사랑한 스타] 수학 사랑의 종결자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들의 중개자 역할을 했다. 그의 중요한 연구는 음향학에 관한 것인데, 소리의 속도를
측정
하거나 현악기의 현의 진동에 관한 연구로 음악이론에 걸친 업적을 남겼다. 수학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본뜬‘메르센 소수’와‘완전수’에 관한 연구에 집중했다.메르센 소수는 1과 자기 자신 이외에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두 번 봐야 한다. ①번 유형은 대부분 연산기호의 이해 여부와 계산능력을 확인하고
측정
하기 위한 문제라 전자계산기를 사용하게 해서는 안 되며, ④번 유형은 전자계산기가 있어야 하므로 수학 시험을 둘로 나눠야 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②, ③번 유형은 어느쪽 시험에 포함돼도 무방하다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나쁘게 볼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서울지방방사능
측정
소에서 대기 중방사능 농도를
측정
하고 있다. 자연 방사선 선량 범위에서 인공 방사능의 영향은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어떻게 행동해야 할까그렇다면 저선량 방사선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 결국 위험성 또는 안전성이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그는 스탠퍼드대에서 ‘양자물리학의
측정
과 비통일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도유망한 물리학도가 왜 과학철학으로 진로를 바꿨냐고 물었더니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고 대답했다.“칼텍에서 공부할 때 고민이 많았어요. 너무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부를 수 있는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경로가 결정된다. 그런데 미국 해양대기청의
측정
자료로 만든 지도를 보면 후쿠시마 근처의 바닷물은 대부분 동쪽으로 향한다. 바로 쿠로시오 해류 때문. 만약 한반도 연근해로 방사성 물질이들어오려면 일단 쿠로시오 해류를 거슬러 와야하는데, 거의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따른 온도를 잰다. 예를 들어 미국의 서부지역에서 지하 40km의 온도가 1000℃에 달한다는
측정
결과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이 지역이 마그마가 생성할 조건이 됐다고 추측한다.12개의 판이 만드는 역동적인 지구[점선을 따라 태평양을 잘랐을 때 지구 속 판의 움직임과 지형을 아래 그림에 펼쳐 ... ...
죽은 ‘알바트로스’가 수은 중독 역사 밝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연구팀은 정밀분석장비로 날개 속에서 유기중금속의 일종인 ‘메틸 수은’의 농도를
측정
했는데 어떤 새는 깃털 1g 안에 40μg(마이크로그램)의 메틸수은이 들어 있었다. 번식에 영향을 미칠만큼 치명적이다. 중독이 심한 연도는 1940년대 후반과 1990년대로 나타났다. 2차 세계 대전과 아시아의 공업화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