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성취감을 느꼈다고 한다. 물론 좀더 정량적인 접근으로 들어가서 상록수 잎의 어는점을 측정해보고, 이를 위한 포도당 농도를 이론값으로 구하거나, 실제 반응 결과를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으면 더욱 알찬 결과를 이끌어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를 인식한 뒤 탐구 계획을 수행하고, 피드백을 거쳐서 ...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측정하는 장치가 발명되기 전 항해사들은 실제로 파도와 거품을 이용해 바람 속도를 측정했다. 19세기에 활용된 ‘보버트 풍력 단계’가 그 예다. 당시에 보버트 풍력 6단계는 ‘흰거품의 물마루를 일으키는 강한 산들바람’을 말했는데, 지금으로 치면 시속 38~48km의 바람을 의미한다. 8단계는 ...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받는 통을 구리나 철로 만들어서 재면 되는 것 아니요?”고르리 박사는 그만 측우기 발명에 대해 말을 꺼내고 말았다. 그 때였다. 악당 업새블라가 어울리지도 않은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훈련량, 칼로리 소모량이 측정되는데, 영법에 따른 분석이 한 번에 가능하다. 이렇게 측정된 기록들은 컴퓨터로 전송돼 각각 원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막대그래프의 형태로 바로 나타난다.기록을 살펴보면 가장 먼저 선수의 전체 훈련량을 알 수 있다. 이 선수가 연습한 총거리는 4750m이므로 50m ...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f∝1/M1/6≈1/M0.167). 실제로 동물원에서 촬영한 고양이과 동물 8종의 혀 왕복횟수를 측정한 결과 몸무게의 0.181승에 반비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들이 제시한 메커니즘이 상당히 정확한 셈이다.개는 물을 떠먹는다?한편 연구자들은 개의 경우 혀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고양이와 물 마시는 메커니즘이 ...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코비(COBE)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전체 스펙트럼을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우주가 처음에는 현재보다 수십만K나 더 뜨거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비 위성은 1992년에도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1000분의 1이상의 정확도로 같은 비율로 팽창하고 ...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연구용 로켓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 로켓은 성층권 높이까지 솟아 올라가 온도측정 등을 할 수 있다.KSR-I 개발이 성공으로 끝나자 항우연은 즉시 2번째 로켓 개발에 들어간다. KSR-II라고 이름 붙인 이 로켓은 한국최초의 2단형 로켓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비행 중 2단 분리 기술을 ...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만들면 큰 전압이 생산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생산되는 전압은 작았고, 측정값보다 오차값이 더 큰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실험 단계를 밟아가는 동안 학생들은 새로운 의문이 들었고, 그 의문에 대해 질문해 왔습니다. 필자는 안 될 수도 있다는 상식보다는 생각한대로 한번 실험해보라는 ...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어디서 측정하든 똑같아요. 하지만 진도는 관측장소에서 느끼는 지진의 크기로, 어디서 측정하냐에 따라 다르답니다. 또 규모는 0부터 숫자로 표기하지만 진도는 Ⅰ, Ⅱ 같은 로마자로 표기하는 점이 다르지요.상상 초월! 대지진과 초대형 쓰나미의 원인은?흑흑…, 어떡해요 아저씨…. 일본도 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짧아 풍경이 심하게 왜곡돼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하늘에 있는 구름의 양을 전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쓰이던 렌즈다.실내 사진 잘 찍는 3가지 비법 실내에서 사진을 찍으면 어둡거나 흔들린 사진이 많이 나온다. 카메라가 충분한 빛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플래시를 쓰면 너무 밝게 나오고,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