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지탱할 신발이기에 정확한 발 크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큰 신발가게에는 발 크기를
측정
하는 기구가 있다. 발의 길이뿐 아니라 발볼의 너비도 함께 잴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은 미국이나 일본 사람과 비교했을 때, 발의 길이에 비해 발볼이 넓은 편이다. 신발 치수가 같더라도 외국사람의 발에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불확실, 실수 등의 상황에 관여하는 뇌 영역인 ‘앞띠이랑(Anterior Cingulate Cortex)의 활동을
측정
한 결과다.연구팀은 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정보가 없거나 불확실할 때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기 위해 뇌파 검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모니터에서 작은 십자가(+) 표시가 나오면 1초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팀은 4월 13일 “액체 크세논 99kg을 이용해 2010년 1월부터 6월까지 100일 동안 암흑물질을
측정
한 결과 검출하지 못했다”는 논문을 썼다. 다마 연구팀의 검출 범위를 더욱 정밀한 방법으로 실험했으나 찾을 수 없었다며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미국의 암흑물질 연구팀인 ‘코겐트(CoGeNT)’도 나섰다.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연결된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측정
해 삼각측량방식으로 위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오차범위가 반경 300~500m로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다.삼각측량: 삼각층량은 어떤 한 점의 좌표와 거리를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알아내는 방법이다.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확한 특성은 아직 제대로 알지 못한다. 반물질을 만들기는 어렵지 않아도 그 특성을
측정
할 시간 동안 반물질을 ‘살려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물질로 이뤄진 우리 세상에서 반물질은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물질과 충돌해 빛을 내고 사라진다.예를 들어 CERN에서 만든 반수소는 불과 수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보전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이항 서울대 교수), 산림생태계의 변화는 어떤 방법으로
측정
할 것인지(이우균 고려대 교수, 김순아 고려대 연구원) 등 기후와 환경, 생물, 그리고 사람에 대해 더욱 깊숙한 지식을 얻고자 할 때 유용한 글이 많다.이 책을 기획하고 엮은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질량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붕괴한다. 힉스입자의 질량은 이론으로는 알 수 없고
측정
해서 정해야만 하는데, LEP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힉스의 최대 질량은 약 114GeV/c2다. 이보다 가벼운 힉스 입자는 대부분 LEP에서 정확하게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LEP 실험을 마치는 2000년 10월까지 힉스 입자가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 세계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
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호주와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두 구의 네안데르탈인 신생아 유골 25개에서 콜라겐 성분을 뽑아내 탄소동위원소 연대를
측정
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의 네안데르탈인이 기존보다 수천 년~1만 년 이른 약 4만 3000년 전에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혀 내 5월 11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메즈마이스카야 지역은 현생인류가 약 4만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녀는 나선은하의 팔에 있는 수소 가스 구름의 회전 속도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측정
했다. 가스 구름은 은하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은하의 질량을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별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줄어들어 느리게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관측 결과는 전혀 달랐다. 가스 구름은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