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받는 통을 구리나 철로 만들어서 재면 되는 것 아니요?”고르리 박사는 그만 측우기 발명에 대해 말을 꺼내고 말았다. 그 때였다. 악당 업새블라가 어울리지도 않은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훈련량, 칼로리 소모량이 측정되는데, 영법에 따른 분석이 한 번에 가능하다. 이렇게 측정된 기록들은 컴퓨터로 전송돼 각각 원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막대그래프의 형태로 바로 나타난다.기록을 살펴보면 가장 먼저 선수의 전체 훈련량을 알 수 있다. 이 선수가 연습한 총거리는 4750m이므로 50m ...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그러면 1L=10cm×10cm×10cm=1000㎤가 되지요.다시 말하면 ‘들이’는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생긴 것입니다. 고체의 부피는 다면체의 부피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만 액체는 용기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이 액체를 담는 용기의 부피로 들이를 정한 거죠. 그러면 무게는 무엇일까요? 부피나 들이가 ...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어디서 측정하든 똑같아요. 하지만 진도는 관측장소에서 느끼는 지진의 크기로, 어디서 측정하냐에 따라 다르답니다. 또 규모는 0부터 숫자로 표기하지만 진도는 Ⅰ, Ⅱ 같은 로마자로 표기하는 점이 다르지요.상상 초월! 대지진과 초대형 쓰나미의 원인은?흑흑…, 어떡해요 아저씨…. 일본도 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짧아 풍경이 심하게 왜곡돼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하늘에 있는 구름의 양을 전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쓰이던 렌즈다.실내 사진 잘 찍는 3가지 비법 실내에서 사진을 찍으면 어둡거나 흔들린 사진이 많이 나온다. 카메라가 충분한 빛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플래시를 쓰면 너무 밝게 나오고, ...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측정하는 장치가 발명되기 전 항해사들은 실제로 파도와 거품을 이용해 바람 속도를 측정했다. 19세기에 활용된 ‘보버트 풍력 단계’가 그 예다. 당시에 보버트 풍력 6단계는 ‘흰거품의 물마루를 일으키는 강한 산들바람’을 말했는데, 지금으로 치면 시속 38~48km의 바람을 의미한다. 8단계는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그녀는 나선은하의 팔에 있는 수소 가스 구름의 회전 속도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측정했다. 가스 구름은 은하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은하의 질량을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별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줄어들어 느리게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관측 결과는 전혀 달랐다. 가스 구름은 ...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전 세계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호주와 ...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말기의 원주민 인구수 변화는 아직 논쟁중인 주제다.탄소연대측정법으로 유물의 연대를 측정해 인구수를 계산하면 호주에서는 지난 1만 년 동안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오래된 유물은 부패하거나 사라지기 때문에 인구가 증가한 것처럼 보인다는 주장도 있다.존슨 교수는 ...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팀은 4월 13일 “액체 크세논 99kg을 이용해 2010년 1월부터 6월까지 100일 동안 암흑물질을 측정한 결과 검출하지 못했다”는 논문을 썼다. 다마 연구팀의 검출 범위를 더욱 정밀한 방법으로 실험했으나 찾을 수 없었다며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미국의 암흑물질 연구팀인 ‘코겐트(CoGeNT)’도 나섰다.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