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노예인 것은 우주의 섭리야. 입 닥치고 공부나 해!”라고 답하는 거랑 비슷하다. 실제 ‘입 닥치고 계산(Shut up and calculate)’이나 하라는 것은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양자역학의 주요한 해석(?) 중 하나다.양자측정이 야기하는 역설에 대해서는 이 코너에서 이미 몇 번 다룬 바 있다. ‘슈뢰딩거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혼자 누워만 있던 아이들은 신체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제대로 자라지 못했지요. 실제 루마니아 고아원 아이들은 애착 장애, 집중력 결핍, 자폐, 과잉 행동과 같은 문제가 있었답니다.인터뷰 김은정 교수(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심리학과) “스킨십은 습관이에요.”초등학생 때는 무엇보다 ...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해양 중에 유해 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은 지역을 찾아낼 수도 있다. 실제로 현재의 해양 오염 자료를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유해 물질들은 해류를 따라 적도 부근을 벗어나 아열대 환류 부근에 모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모델은 ‘에르고딕 이론’을 기초로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대로 나올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65개다. 2005년 10월, 일본의 토시타카 스즈키는 실제로 65개의 삼각형을 모두 찾아내고 그리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이 표에서는 10개의 직선으로 그릴 수 있는 삼각형의 최대 개수가 26개로 나온다. 그러나 현재까지 25개의 삼각형을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따라 다른 의도를 가지고 행동할 수 있다.이런 ‘다중행위자 플랫폼’을 사용하면 실제 사회와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 속에서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와 의사, 간호사, 보험회사 직원 등 다양한 사람이 환자의 개인 정보에 접속할 때 누구에게 어떤 권리를 주는 것이 바람직한지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외로운 여정이라는 점에서 동료이자 친구였다.이제 시작일 뿐시간적, 지리적 제약으로 실제 같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을 모두 아쉬워했다. 또한 ‘하는 사람만 계속하는’ ‘바쁜 사람만 바쁜’ 구조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그렇지만 변화도 엿보였다. 홍석환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내린 선택 하에서 자신의 선택이 최적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내쉬가 실제로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영화 속에서 내쉬는 금발 미녀를 둘러싼 남학생들의 심리적 역학관계에서 섬광 같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어느 날 그는 네 명의 친구와 바에 앉아 있는데, 금발 ...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이 더 중요하다.옳은 일을 했을 때의 보상이 확실한 사회를 만드는 것 또한 중요하다. 실제로 정의로운 사람들이 많은 사회는 선하고 정의로운 사람들이 충분히 존중·대우 받는 사회임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다. 반대로 말하면 착하고 정직하게 사는 게 정서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손해인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 과학의 고래바다와 만나 진화한 첨단과학Q 오랫동안 바다를 연구해온 교수님은 바다가 어떻게 보이시나요?A 저도 보통사람과 똑같습니다. 끝이 보 ... 집중하기 때문에 고래를 직접 연구하지는 않습니다. 같은 연구실에서 일했던 동료 중 몇몇은 실제 바다 속 동물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해 보라. 그러면 0점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그런데 2B, 1/2B 등 실제 수와 B 사이의 곱은 정의할 수 있다(그림❸).그렇지만 0점만 가지고는 A를 수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문제다. 그러니까 곱셈을 정의할 때는 0만 가지고는 부족하고, 1을 정해야 한다. 그러면 단위를 하나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