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전자는 여기저기 마구잡이로 부딪히며 이동하고 당연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는 여기에 양자 중첩이 작동한다고 제안한다. 전자가 모든 경로를 동시에 훑어보고 최단경로를 찾아 고속도로를 탄 것처럼 이동한다는 것이다.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부분을 분석해 3D 그래픽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정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변환한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가공된 사진을 기존의 사진과 비교하면서 가장 비슷한 사진을 찾아낸다. 페이스북에서는 향후 이 ‘딥 페이스’를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Y 염색체는 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Y 염색체에 담겨있는 유전자 개수도 78개다. 그나마 실제로 활동하는 유전자는 20여개에 불과하다. Y염색체가 사라지기 더 좋은 환경이다. ‘Y 살아남는다’는 연구도 나왔지만 이처럼 그동안 많이 나왔던 연구는 ‘Y몰락설’을 지지하는 게 많았다. 그러나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림은 찌그러져 있는 모양이다! 연구에 따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시각의 왜곡 때문에 실제보다 물건들의 거리가 가까워 보이게 되므로 3차원 지각 능력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글씨를 평소처럼 써서 지구로 전송하는 실험도 있었는데, 이 역시 지구에서 평소 쓰던 글씨체보다 작은 글씨가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시중은행에서 고객 정보를 대량으로 빼내 거액의 돈을 빼가는 사상 초유의 사이버테러는 실제로도 가능하다”며, “우리가 매일 타는 자동차도 사이버테러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설명했다. 차량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을 해킹해 악성코드를 심으면 스마트폰으로 자동차를 조종할 수 있어 마음만 ... ...
- [수학뉴스] 에볼라, 의료진 확보가 시급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막을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례까지 고려해 실제 에볼라 환자는 드러난 규모의 약 2.5배로 간주했다.그 결과, 현재처럼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환자를 격리시키기만 하는 수준으로는 에볼라를 진압할 수 없었다. 단 1개월만에도 환자가 2만 명이나 더 생겼다.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d차원 공간기하의 그라스만 대수는 일반적으로 R2d에 주어진 연산체계로 해설할 수 있다. 실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경우는 물론 4차원 시공간의 그라스만 대수인데, 그때는 기본 직육면체도 많아지고 4차원 평행도형이생기기 때문에 기본원소가 다음과 같이 무려 16개가 된다. 그래서 4차원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색인지 가상의 색인지’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사진에서 보이는 색상은 열매의 실제 색은 아닙니다. 하지만 완전히 가상의 색도 아니죠. 본래의 색을 바탕으로 열매의 구조와 기능적인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색을 수정했기 때문입니다. 열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확도를 입증했다. 다양한 질량의 가상 지렁이를 만들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실제 지렁이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로봇공학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파올레티 교수는 “우리는 부드러운 몸체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종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널리 재배되는 종으로 낱알이 짧고 굶다. 우리나라에서 실제 재배된, 자포니카 종의 아종이나 변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장재기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박사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수집한 재래종으로 우리 조상들이 키웠던 벼를 추측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