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하지만 정말 그럴까. 오히려 머리를 쓰지 않게 돼 두뇌가 퇴화하는 건 아닐까. 놀랍게도 실제로 인류의 두뇌는 작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먼저 고백할 게 있다. ‘구글링’ 검색만 가지고 정보를 얻으려 하다가는 시쳇말로 ‘망할 수 있다’는 슈피처 교수의 말은 사실이었다. 인류의 두뇌가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림은 찌그러져 있는 모양이다! 연구에 따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시각의 왜곡 때문에 실제보다 물건들의 거리가 가까워 보이게 되므로 3차원 지각 능력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글씨를 평소처럼 써서 지구로 전송하는 실험도 있었는데, 이 역시 지구에서 평소 쓰던 글씨체보다 작은 글씨가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람 구분하는 아프리카코끼리 영국 리처드 바이른 교수팀이 케냐 국립공원에서 실험한 실제 사진. 마사이족 고유의 옷(A)과 캄바족이 입었던 옷(B)을 주고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코끼리는 마사이족이 입었던 고유의 옷 냄새를 맡았을 때 폭력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도망쳤다(오른쪽 위)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많은 사람들이 한국조폐공사가 돈과 우표, 상품권만 발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국방부 출입증과 공무원증, 전자여권 등 다양한 보안솔루션도 제작한다. 이번 설명회는 그간 개발한 위·변조 방지 신기술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정부기관과 기업체에 기술을 이전하기 위해 개최됐다.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새로운 길을 열어젖힌 연구자들이다. 머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고, 베치그가 실제 현미경 개발에 성공했다. 먼저 베치그부터 살펴보자. 베치그는 1990년대 초에 이미 슈퍼스타 과학자였다. 벨연구소에서 초분해능 현미경의 조상뻘인 근접장 현미경(빛이 퍼지기 전에 표면 근처에서 신호를 포착해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Y 염색체는 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Y 염색체에 담겨있는 유전자 개수도 78개다. 그나마 실제로 활동하는 유전자는 20여개에 불과하다. Y염색체가 사라지기 더 좋은 환경이다. ‘Y 살아남는다’는 연구도 나왔지만 이처럼 그동안 많이 나왔던 연구는 ‘Y몰락설’을 지지하는 게 많았다. 그러나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되지 않을까.서로 다른 무늬를 죽 모아놓고 번호만 붙이면 되니 간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만만치 않다. 야생동물이 스튜디오에서 증명사진 찍듯이 가만히 있어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패턴을 분석하는 컴퓨터공학자가 등장한다. 영국 브리스톨대 컴퓨터과학과 틸로 버거트 교수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해 보라. 그러면 0점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그런데 2B, 1/2B 등 실제 수와 B 사이의 곱은 정의할 수 있다(그림❸).그렇지만 0점만 가지고는 A를 수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문제다. 그러니까 곱셈을 정의할 때는 0만 가지고는 부족하고, 1을 정해야 한다. 그러면 단위를 하나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대로 나올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65개다. 2005년 10월, 일본의 토시타카 스즈키는 실제로 65개의 삼각형을 모두 찾아내고 그리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이 표에서는 10개의 직선으로 그릴 수 있는 삼각형의 최대 개수가 26개로 나온다. 그러나 현재까지 25개의 삼각형을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확도를 입증했다. 다양한 질량의 가상 지렁이를 만들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실제 지렁이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로봇공학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파올레티 교수는 “우리는 부드러운 몸체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