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제 잎’처럼 광합성 하는 ‘인공 잎’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이뤄 실크단백질 안에 엽록체를 넣어 인공 나뭇잎을 만들었어요. 이 인공 나뭇잎은 실제 잎처럼 물과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내뱉지요. 줄리안은 “인공 나뭇잎을 타일이나 전등갓 같은 실내 장식으로 꾸미면 항상 깨끗한 산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과학자들은 가까운 미래에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열리는 특별 전시에는 4가지 똥을 직접 만져볼수 있어요. 물론 진짜가 아닌 모형이지만 실제 똥의 질감과 모양을 그대로 흉내내서 만들었답니다. 바나나 모양의 건강한 황금똥과 물기가 많은 진똥, 딱딱한 된똥, 설사 같은 물똥이 변기 속에서 친구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어요.만약 진똥이나 된똥,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우리나라 혈액형 비율은 A형 34%, O형 27%, B형 27%, AB형 12%이다. 모기는 어떤 피를 좋아할까?실제로 드라큘라인 나를 본 인간들은 없지만 아마 모기는 모두 보았을 거야. 특히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여름은 모기들이 아주 활발하게 피를 구하러 다니는 계절이지. 남들보다 유난히 모기에 많이 물린다면 ... ...
- 높이가 달라 더 짜릿한 원마운트 워터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바디슬라이드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몸이 슬라이드에 직접 닿기 때문에 실제 속도보다 더 빠르게 느껴진단다. 그만큼 더 짜릿하지. 참 바디슬라이드를 타다가 놀라거나 방심하면 물을 종종 먹게 되니 조심해야 해.튜브슬라이드는 속도가 빨라서 속도감을 즐기는 친구들에게 좋아. 몸 대신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조합해 전송하면 작은 냄새 카트리지로 냄새를 만들어 원하는 향을 맡을 수 있게 한다. 실제로 파리에서 뉴욕까지 커피 향을 전송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킁킁, 전자코 나가신다냄새로 문을 열거나 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냄새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술이 무척 중요해. 그래서 많은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가상의 바퀴벌레가 돌아다니도록 한 거야. 가상의 바퀴벌레에 익숙해진 뒤에는 모두 실제 바퀴벌레가 들어있는 통에도 무리 없이 손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됐다고 해. 내 단추공포증도 증강현실로 치료할 수 있는 날이 곧 오겠지?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고 해. 어때? 공포증에 대해 알고나니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순으로 탐사했어. 식물과 곤충탐사를 자주 한 이유는 그만큼 종류가 많기 때문이야. 실제 서울숲에서 발견된 분류군을 보면 관속식물이 333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류가 250종으로 그 다음이었지.이번 조사에서 밝혀낸 새로운 사실은 북한에서만 산다고 알려진 ‘기는 미나리아재비’가 서울숲에서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주위를 빙빙 도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미심쩍은 이론이였던 아인슈타인의 주장은 실제 태양을 스쳐 지나가는 빛이 휘어지는 것이 관측되면서 사실로 증명됐다. 블랙홀이 빛나는 이유블랙홀은 어떻게 생길까?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생명을 다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스스로의 중력에 의해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복소수의 실수부가 의미 있는 신호다.아날로그부에서는 디지털부에서 나온 신호가 실제 안테나로 전송될 수 있도록 변환한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만들어주는 부분과 정보를 담고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곱해 주는 부분,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 걸러 주는 부분, 신호를 내보내는 안테나 부분이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커튼이라고도 부른다. 가장 아래쪽이 색이 강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흐릿해 보이지만 실제로 커튼의 아래와 위쪽은 밝기 차이가 거의 없다. 단지 빛이 광원과 관찰자의 거리에 반비례하게 어두워지기 때문에 이렇게 보일 뿐이다.오로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태양에서 날아온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