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바닷속 고드름이 살아있다?! 브리니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아래쪽으로 얼어 브리니클이 된답니다.브리니클은 점점 아래로 자라다가 바닥에 닿아요. 이후에는 바닥을 따라 계속 길게 만들어지지요. 만약 바닷속에서 브리니클을 만나더라도 절대 만지면 안 돼요. 주변 바닷물보다 훨씬 차가운 브리니클을 만나는 순간 몸속의 수분이 얼어서 브리클에 찰싹 ... ...
- 거대한 태풍에 휩쓸린 도시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최근 태풍 ‘짜미’가 일본에 큰 피해를 입혔어. 얼마 전엔 태풍 ‘망쿳’과 ‘플로렌스’도 각각 필리핀과 미국에 큰 피해를 입혔지. 짧은 시기 동안 큰 ... 비가 내렸고, 최고 1m에 가까운 물폭탄이 쏟아진 지역도 있었지요. 이건 2016년 태풍 하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강우량이랍니다 ... ...
- [시사과학 뉴스] 동물원 퓨마 호롱이는 왜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힘들 것이라 판단하고 호롱이를 사살하기에 이르렀답니다. 호롱이를 둘러싼 논란들 이후 호롱이를 꼭 사살해야만 했는지 비난하는 여론이 거세게 일었어요. 호롱이가 동물원을 빠져나가지 않은 상태였는데, 마취한 뒤 우리로 되돌려 놓을 수 없었냐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지요. 논란이 ... ...
- 달나라 여행 가이드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1968년, 세 명의 우주 비행사가 ‘아폴로 8호’를 타고 달 궤도를 돌면서 시작됐어요. 이후 아폴로 11호, 12호, 14호, 15호, 16호, 17호가 달 착륙에 성공하며 12명의 우주 비행사가 달의 표면을 밟고 돌아왔답니다. 그런데 유인 달 탐사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요. 이 때문에 유인 달 탐사는 아폴로 17호를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여왕개미가 새로운 정착지를 개척할 때, 성공적으로 정착할 확률은 채 1%가 되지 않아요. 이후 왕국으로 성장하기도 어렵고요. 이처럼 개미의 생존은 엄청난 노력과 희생의 결과랍니다. 크기가 작다고 해서 개미의 존재를 하찮게 여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하고 있어요. 우선 2019년, 가장 먼저 달의 토양을 탐색할 탐사선 ‘MX-1’을 달로 보내고, 이후 조금 더 큰 탐사선 MX-2, MX-5, MX-9를 차례대로 달에 보낼 계획이랍니다. 문 익스프레스 밥 리차드 대표는 “정부만 달 암석을 갖는 시대를 넘어 모든 사람들이 달의 암석을 가질 수 있는 날을 꿈꾼다”고 ... ...
- [과학뉴스] 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그림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이 찾은 조그만 돌에는 붉은 줄이 여럿 그어져 있었지요. 이후 직접 그림을 그려 실험한 결과, 줄무늬는 황토를 돌에 문지를 때 그려진 것으로 드러났어요. 연구팀은 “연대 측정 결과 이 그림은 7만 3000년 전에 그려졌으며, 기존에 알려진 그림보다 3만 3000년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석회암 지대가 오랜 시간 비에 녹으면서 커다란 동굴과 구멍 등이 생겨난 거예요. 이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높아지자 지금의 블루홀의 모습이 됐지요. 실제로 블루홀 안에는 동굴 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종유석이나 석순 등 다양한 구조물들이 있답니다. 그레이트 블루홀 이외에도 바하마, ... ...
-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어떤 사건을 넣을 것인지, 문단별로 어떤 내용을 나열할 것인지 틀을 만드는 거예요. 이후 틀 안에 해당되는 문장들을 넣으면 기사가 완성되는 거랍니다.아쉽게도 AI 기자 부분에는 두 팀만 참여했어요. 전문가들은 이번 대회의 세 분야 중 코딩하는 방법이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웠기 때문이라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화석에 담긴 공룡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호박은 소나무의 수액으로, 달콤한 향에 끌린 곤충은 수액을 빨아 먹다가 들러붙어요. 이후 추가로 흘러나온 수액에 덮여 빠져나오지 못하고 몇 천만 년 동안 화석 속에 남아 있는 거예요.최근 중국 지구과학대학교 리다 싱 박사가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1억 년 전 아기 새가 담긴 화석을 발견했어요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