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뿜어요. 방사선이 세포와 유전자를 공격하면 암세포를 만들 수 있지요.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2010년부터 판매된 대진침대 26종을 모두 조사해 24종이 방사성 물질을 썼다고 밝혔어요. 그중 21종은 방사선량이 가공제품에 허용된 안전 기준을 넘어 원안위가 거둬 폐기하기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칸막이가 없어서 양말과 속옷이 여기저기 뒤섞인 서랍을 상상하면 될 거예요. 이후 원핵생물에서 진화하여 막을 갖춘 세포소기관을 가진 생물이 등장했어요. 바로 진핵생물이에요. 여러 칸으로 나뉘어 가지런히 정리된 서랍처럼, 세포 내의 공간이 깔끔하게 구분되어 있죠. 소나무, 호랑이,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회수 시스템을 사용했다. 과학로켓은 데이터 분석 등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발사 이후 데이터 수집을 위해 로켓을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서정기 책임연구원은 “회수 시스템은 낙하산을 자동으로 펼쳐 로켓을 안전하게 착지시킨다”며 “기존의 5분의 1 수준으로 가볍게 제작하는 데 성공해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미 반사형 디스플레이와 화장품 등에 활용되고 있다. 반면 깃털의 구조색은 2010년 이후에서야 생체모방 연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일본 나고야대 연구팀은 북미에 서식하는 ‘스텔러어치’라는 새의 깃털을 분석해 직접 멜라닌 입자를 만들었다. 스텔러어치의 구조색은 파란색인데,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물질이 꽤 쓸모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여러 회사에서 과불화화합물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불화화합물이 환경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독성 연구는 2000년대 들어서야 시작됐습니다.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도시가 15개면 8700억 가지가 넘지요. 그런데 일반 계산기로 계산했다니 정말 놀랍죠? 이후 랜드연구소는 더 많은 도시를 여행할 수 있는 경로를 짜는 사람에게 상금을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는 유명세를 탑니다. 앞서 말했지만 도시 수가 많아지면 경우의 수가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니었다. 많은 수학자의 노력에 의해 1949년까지 390쌍의 우애수가 밝혀졌다. 이후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2018년 11월을 기준으로 1,222,214,178 쌍의 우애수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화에도 등장한 우애수 우애수는 소설과 영화에도 등장했다. 일본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과 이 소설을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흐름만 파악한 뒤 바로 문제로 넘어갔고, 중요해 보이는 부분은 밑줄로 표시했다”며 “이후 문제를 풀 때 표시해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지문 전체를 정독할 때보다 시간을 아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학 과목에서 가장 저지르기 쉬운 계산 실수에 대한 팁도 전했다. 전 씨의 경우 수능을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12] 버는 만큼 써라! FFP 규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전망은 일단 FFP 규칙 자체가 없어질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 같다고 합니다. 실제로 도입 이후 많은 구단의 적자가 없어지거나 줄어든 것은 사실이니까요. 다만 적자가 줄어든 구단들이 대부분 수입이 늘어서라기보다는 그저 울며 겨자 먹기로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해결했다는 게 문제입니다.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탐사 활동이에요. 우리 주변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1996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후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번이 9번째랍니다. 이번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일반인과 전문가 총 470명이 탐사에 참여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의 가장 큰 특징은 박쥐와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