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어? 저 배엔 왜 사람이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비행기가 등장한 이후, 전세계 어느 곳이든 빠르게 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비행기는 한 번 운항할 때 옮길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적어요. 그래서 전세계 화물 운반의 90% 이상이 선박을 통해 이뤄진답니다. 이처럼 배가 많이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콜록콜록~, 엣취~!’ 혹시 ‘삼한사미’ 란 말 들어 봤나요? 3일간 춥고 4일간 미세먼지가 발생한다는 뜻의 신조어지요. 올해는 고 ... 동안 미세먼지 나쁨 주의보가 더 자주 발생할 거라고 전망했어요. 이미 수도권은 11월 3일 이후 보름 동안 미세먼지 나쁨주의보가 열흘에 달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든 거죠. 눈송이는 녹기 시작하면서 작은 틈새를 메워나가요. 이후 눈송이 표면에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눈송이를 둘러싼 물로 된 껍질을 만들지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모두 물방울로 변해요.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여기엔 물의 ●표면장력과 같은 다양한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모두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지요. 이번 사건은 1975년 ‘소유즈 18A’의 실패 이후 43년 만에 벌어진 유인 우주선의 발사 실패 사고예요. 이로 인해 ISS는 운영에 차질이 생겼답니다. 계획대로라면 오는 12월 13일, 기존에 ISS에 머물던 3명의 우주인이 지구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럼 ISS가 빈집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그리고 세포에 찔러 넣을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전극을 촘촘히 박아 기판을 만들었지요. 이후 나노전극 기판을 세포필름 위에 얹어 누른 결과, 100nA(나노암페어, 10억분의 1A) 이상의 전류를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외에도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어요.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도시 생활에 싫증을 느껴 2015년부터 부모님의 오이 농장을 돕기 시작했어요. 귀농 이후 코이케는 오이를 분류하는 작업에 큰 문제를 느꼈어요. 오이의 크기와 두께, 색깔, 질감, 흠집을 일일이 살피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거든요. 코이케는 “분류 체계를 배우는 데 몇 달이 걸린 데다 새로운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ISS의 임무가 끝나더라도 새로운 우주정거장들이 다시 이 자리를 메울 거랍니다. ISS 이후 논의되고 있는 우주정거장으로는 국제 연구팀의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와 중국의 ‘거대 모듈 우주정거장’ 등이 있지요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는 달 궤도를 도는 우주정거장이에요. 이 우주정거장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같다는 점을 발견했어요. 이는 약 10m 높이의 물기둥이 누르는 압력과 비슷하답니다. 이후 프랑스의 과학자 파스칼이 공기가 희박한 산 위에서는 기압도 낮다는 사실을 알아냈죠. 그런데 대기압이 이렇게 강하다면, 왜 우리는 그 압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기압이 우리의 몸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오렌지 전지로 친환경 시계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받침대 양쪽 끝 공간 두 곳에 준비한 오렌지를 놓고, 가운데 구멍에 시계를 꽂아요. 이후 전선이 빨간색인 구리 전극(노란색)을 한쪽 오렌지에 꽂고, 전선 끝을 시계 모듈 뒤쪽의 ‘+’ 부분에 연결해요. 또 다른 오렌지에는 검은색 전선의 아연 전극(은색)을 꽂고, 전선 끝을 ‘-’ 부분에 연결하지요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예요. 키 175cm에 몸무게는 80kg 정도로, 2013년에 처음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개발되어 점차 다양한 동작을 선보이고 있답니다. 이번 영상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민첩함’이에요. 대부분의 로봇은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높이를 파악해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