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만든 별자리가 그리스의 신화와 섞였고, 이를 천문학자들이 기록하면서 굳어졌죠. 15세기 이후에는 항해술이 발달하면서 남반구로 간 유럽 탐험가들이 북반구에서는 못 보던 별들을 발견했어요. 탐험가들은 남반구의 빈 하늘을 채우기 위해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지요. 우리에겐 생소한 공기펌프,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돕는 프로그램이에요. 119에 사건이 접수되면, 사고 현장과 가까운 거리를 미리 확인해요. 이후 거리의 센서가 응급차를 인식하면, 응급차가 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주변의 신호를 바꾸지요. 동시에 다른 차나 보행자가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상황을 알려 줘요. 그럼 응급차가 이동하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모스 부호’예요. 미국의 예술가였던 사무엘 모스는 1837년 모스 부호를 발명했어요. 이후 1844년 모스 부호는 미국 볼티모어와 워싱턴 D.C 간 통신에서 처음 시연되었고, 160년 이상 통신 언어로 쓰였지요. 모스 부호는 짧은 점(·)과 긴 선(-)을 사용해 문자와 숫자, 기호를 표현해요. 예를 들어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ISS의 임무가 끝나더라도 새로운 우주정거장들이 다시 이 자리를 메울 거랍니다. ISS 이후 논의되고 있는 우주정거장으로는 국제 연구팀의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와 중국의 ‘거대 모듈 우주정거장’ 등이 있지요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는 달 궤도를 도는 우주정거장이에요. 이 우주정거장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그리고 세포에 찔러 넣을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전극을 촘촘히 박아 기판을 만들었지요. 이후 나노전극 기판을 세포필름 위에 얹어 누른 결과, 100nA(나노암페어, 10억분의 1A) 이상의 전류를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외에도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어요.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도시 생활에 싫증을 느껴 2015년부터 부모님의 오이 농장을 돕기 시작했어요. 귀농 이후 코이케는 오이를 분류하는 작업에 큰 문제를 느꼈어요. 오이의 크기와 두께, 색깔, 질감, 흠집을 일일이 살피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거든요. 코이케는 “분류 체계를 배우는 데 몇 달이 걸린 데다 새로운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모두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지요. 이번 사건은 1975년 ‘소유즈 18A’의 실패 이후 43년 만에 벌어진 유인 우주선의 발사 실패 사고예요. 이로 인해 ISS는 운영에 차질이 생겼답니다. 계획대로라면 오는 12월 13일, 기존에 ISS에 머물던 3명의 우주인이 지구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럼 ISS가 빈집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같다는 점을 발견했어요. 이는 약 10m 높이의 물기둥이 누르는 압력과 비슷하답니다. 이후 프랑스의 과학자 파스칼이 공기가 희박한 산 위에서는 기압도 낮다는 사실을 알아냈죠. 그런데 대기압이 이렇게 강하다면, 왜 우리는 그 압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기압이 우리의 몸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오렌지 전지로 친환경 시계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받침대 양쪽 끝 공간 두 곳에 준비한 오렌지를 놓고, 가운데 구멍에 시계를 꽂아요. 이후 전선이 빨간색인 구리 전극(노란색)을 한쪽 오렌지에 꽂고, 전선 끝을 시계 모듈 뒤쪽의 ‘+’ 부분에 연결해요. 또 다른 오렌지에는 검은색 전선의 아연 전극(은색)을 꽂고, 전선 끝을 ‘-’ 부분에 연결하지요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면역의 조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된 건가요?Q.네안데르탈인은 유라시아에 살았고,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에 살았어. 이후 호모 사피엔스가 유라시아로 이동했는데, 이때 호모 사피엔스는 유라시아의 바이러스에 대해선 면역 유전자가 없었지. 그래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유라시아 지역에서 함께 섞여서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