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도르래의 원리를 밝혀냈어요. 이 원리를 적용해 여러 기계 장치를 고안했지요. 이후 도르래는 전세계 곳곳에서 주로 무거운 자재를 옮기는 데 사용됐답니다. 프랑스 루이 15세와 나폴레옹이 도르래를 이용해 ‘날아다니는 의자’를 만들어 궁전 내에서 이동했다는 기록도 있지만, 줄이 끊어지면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수소비행선 ‘힌덴부르크호’가 착륙할 때 정전기로 인해 불이 나고 말았어요. 이후의 비행기는 부력이 아닌 *양력을 이용해 하늘을 나는 형태로 개발됐어요. 새처럼 날개를 양쪽으로 넓게 뻗은 모양이 특징이지요. 독일의 오토 릴리엔탈이 만든 글라이더와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 모두 새의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항목에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용 제품류’를 추가한다고 발표했어요. 하지만 발표 이후 어린이용 화장품을 공식화하면 도리어 어린이의 화장을 부추길 수 있다는 논란이 일었지요. 이에 올해 6월 식약처는 어린이용 제품류를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없애고, 대신 어린이용 화장품의 안전관리를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박사 A1 발사시퀀스를 만들어 작동시켰을 때의 일이에요. 우리는 발사시퀀스가 시작된 이후 어떤 지점에서 멈추도록 설정했어요. 그러나 시퀀스 프로그램은 멈추지 않았지요. 마치 신호등에 빨간 불을 켜 놨는데, 자동차가 이를 무시하고 지나가는 것처럼 말이에요. 이럴 때는 하나씩 뒤로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일단 비행기를 수직으로 세운 뒤 추진체를 발사해 땅으로부터 100km 위로 상승해요. 이후 비행기와 발사체를 분리한 뒤, 비행기만 높은 대기로 들어오지요. 이때부터는 별도의 엔진이나 프로펠러를 이용하지 않고 활공해요. 이때의 비행기는 음속보다 5배 빠른 속도로 날게 된답니다. 이론상으론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상인 마르코 폴로가 아버지, 삼촌과 함께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등을 다녀온다. 이후 마르코 폴로의 경험담을 들은 이탈리아인 루스티켈로가 이를 받아 적어 이라는 책을 냈다. 이로 인해 유럽 사람들은 아시아에 대해 호기심을 키우게 된다. 대항해시대, 해상 실크로드 개척!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어? 저 배엔 왜 사람이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비행기가 등장한 이후, 전세계 어느 곳이든 빠르게 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비행기는 한 번 운항할 때 옮길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적어요. 그래서 전세계 화물 운반의 90% 이상이 선박을 통해 이뤄진답니다. 이처럼 배가 많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정체를 알 수 없는 광선’이라는 뜻으로 ‘엑스선’이라는 이름을 임시로 붙였답니다. 이후 ‘뢴트겐 광선’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이보다는 엑스선이 더 널리 쓰이고 있지요. 엑스선은 투과력이 높아서 우리의 살도 뚫고 지나갈 수 있어요. 다만 밀도가 높은 금속이나 뼈는 통과하지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콜록콜록~, 엣취~!’ 혹시 ‘삼한사미’ 란 말 들어 봤나요? 3일간 춥고 4일간 미세먼지가 발생한다는 뜻의 신조어지요. 올해는 고 ... 동안 미세먼지 나쁨 주의보가 더 자주 발생할 거라고 전망했어요. 이미 수도권은 11월 3일 이후 보름 동안 미세먼지 나쁨주의보가 열흘에 달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든 거죠. 눈송이는 녹기 시작하면서 작은 틈새를 메워나가요. 이후 눈송이 표면에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눈송이를 둘러싼 물로 된 껍질을 만들지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모두 물방울로 변해요.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여기엔 물의 ●표면장력과 같은 다양한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