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개수’의 곱으로 전체 빛의 양을 이용해 구합니다. 은하의 밝기는 별 밝기의 총합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은하에는 1000억~4000억 개의 별이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계산을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최솟값인 1000억 개로 가정하겠습니다. 허블우주망원경과 유럽우주국(ESA)의 허블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9로 인해 연구 현장 방문이 제한되기도 했지만, 화상 인터뷰 등을 통해 과학자들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과학동아 1월호부터 12월호까지 인터뷰 내용이 실렸거나, 기고한 과학기술인은 총 258명. 올해 과학동아가 만난 월별 대표 과학기술인과의 기억을 더듬어 봤다. 코로나19, ... ...
- [스쿨리포트 A+ ] 과학시간 야외 관찰, 교내 암석 보물찾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활동은 조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다른 조원의 생각을 이해하고 서로의 생각이 다를 때 의견을 조율하려는 태도도 필수입니다. 평가 중 과학적 참여 항목도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활동 전 준비 단계나 마무리 정리 역시 책임감 있는 태도로 임해야 합니다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관찰평가도 진행합니다. ❸ 디자인 싱킹 개념 알기디자인 싱킹이란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과정입니다. 디자인의 의미를 ‘조형 작품이나 제품의 형태, 색, 장식을 계획하거나 도안하는 것’에서 ‘주어진 작업을 의미 있게 만드는 기획’으로 확대한 것입니다.디자인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아껴 쓰고, 그래도 안 되면 부모님께 도움을 더 받아서라도 아르바이트는 하지 않겠다고 생각했었다.하지만 찾아보니 학교 안에서도 공부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아르바이트가 꽤 많았다. 최근에는 운 좋게 같은 학과 연구실에서 연구 보조 아르바이트를 하게 됐다. 일주일에 10시간 정도 연구를 ...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VS 티라노사우루스, 승자는?’ 공룡을 좋아하는 친구들이라면 한 번쯤 생각해 봤을 질문일 거예요. 영화 를 봤다면 스피노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를 단번에 제압하는 장면이 강렬한 인상을 남겼을 테지요. 스피노사우루스는 등에 부챗살 같은 돛이 특징인 거대한 수각류공룡이고, ... ...
- [특집]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 종이접기 꿀팁 알려주세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좋아하게 됐죠.Q 어떻게 종이접기를 하시는지 알려주세요!일단 무엇을 접고 싶은지 생각하고 그 물체의 특징을 자세히 관찰해요. 그리고 어떤 종이로 접는 게 좋을지, 무슨 색으로 접을지 등을 정합니다. 종이접기로 물체의 곳곳을 자세히 만들어내면 좋겠지만 종이는 한정돼 있으므로 강조할 부분과 ... ...
-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것이 좋을 것 같군요. 사건에 대해 들으면서 법정에서의 수학을 연구하는 게 왜 중요한지 생각하는 것도 즐거울 겁니다. 피터팍 : 벌써 흥미진진한데요? 그럼 지금부터 재연 영상과 함께 두 분의 이야기를 청해 듣겠습니다. 뜨거운 박수 부탁드립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법정에서 수학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예요. 우리가 살펴본 사건들이 보여주는 건 수학이 법정에서 쓰여선 안 된다는 게 아니라 수학을 정확하게 써야 한다는 교훈이에요. 슈넵스 박사님이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훈련과 같습니다. 각종 문제에 마주쳤을 때 어떻게 해결할지 생각하는 연습을 하는거죠. 수학 성적이 아주 낮은 취업준비생은 업무 중 발생하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할 역량이 낮다고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수학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