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약 30~40배를 들 수 있습니다. 종마다 다르지만, 개미 한 마리의 평균 몸무게를 0.01g이라 생각하면 한 마리가 최대 0.4g의 무게를 들 수 있죠.만 11살 어린이의 평균 체중은 39~40kg입니다. 여러분의 몸무게를 40kg이라 가정하고 개미 한 마리가 들 수 있는 최대 무게인 0.4g로 나누면 10만 마리가 나옵니다(40kg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왜 AI를 연구해?’라는 질문은 옳지 않은 것 같아요. 모든 분야에서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는 다른 방식으로 풀던 것을 AI로 풀어 보는 거죠. 물론 다 잘 되진 않겠지만, 더 진보할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수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봅니다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난센스 퀴즈와 수학 문제를 섞어 냈다. 학생들의 반응은 생각보다 뜨거웠다. 채팅창에 질문이 계속 쏟아져 송 선생님이 답변하기 어려울 정도였다고 한다. 평소 질문이 없던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궁 게임을 사용해 진행한 첫 온라인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천문학자는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질량에 따라 나선팔 모양이 다른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관측을 통해 알려진 바로는 블랙홀 질량이 클수록 은하의 나선팔이 휘어진 정도가 크고, 블랙홀 질량이 작을수록 휘어진 정도가 작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관계를 이용해 나선팔 각도로 은하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급식은 육식 위주라 불평등과 인권침해 요소가 있다’며, ‘지속가능한 생태문명을 위해 생각과 행동양식의 총체적 변화를 추구하는 교육’을 하겠다고 채식 선택제 도입의 배경을 밝혔습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기후비상선포와 함께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육류 위주의 ...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는 질 피퍼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않습니다. 피퍼 교수는 이 사람들도 수학자만큼 다양한 수학적 업적을 쌓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1955년 12월 14일에 태어난 피퍼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엔젤레스(UCLA) 수학과에서 1979년 학사학위, 6년 뒤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89년부터는 브라운대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죠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참고한다면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해나가야 할지 계획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으리라 생각합니다. 핵융합 발전은 지구에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이 하나 더 생기는 엄청난 일입니다. 2018년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으며, 최고의 해법은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1월 15일 오후 1시, 서울 성수동에 있는 긱블 메이커 스페이스에 2020년 ‘MOM(Making of the month)’의 주인공들이 모두 모이는 연말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MOM으로 선정된 ... 차지했답니다. 준형 님은 “MOY로 선정돼 놀랐다”며 “앞으로도 메이킹을 꾸준히 할 생각”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인하에 찬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셰어 교수는 “욕설이 섞인 메시지는 이미 비슷한 생각을 나누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확신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며 “하지만 반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고 분석했다. doi: 10.1080/15534510600747597욕은 의외의 효과(?)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문에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켜본 국민들은 나로호의 성공에 더 큰 자부심을 느꼈다.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했다는 생각에 우리 연구원들도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외나로도에 온 지 거의 10년 만에, 두 다리를 뻗고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 한국형발사체의 초석을 놓다 하지만 자축의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나로호의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