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4만여 개의 유전자 정보를 밝혀 공개했다. 또 분석 결과를 ‘서양 발톱 개구리’ 유전체
해독
결과와 비교해 보기도 했다. 그 결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가 서양 발톱 개구리와 약 4800만 년 전에 종 분화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에 대한 상세 기사 보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색이 섞인 곳은 각 기능들이 혼합된 부위다. 국제 공동연구진은 인간이 아직 완전히
해독
하지 못한 뇌의 비밀을 풀기 위해 뇌가 각 부분별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분석한 ‘뇌 지도’를 작성하고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부위인 뇌. 그중에서도 대뇌의 표면인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수 있는 종류가 극히 제한돼 있어 제대로 연구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게놈
해독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배양을 하지 않고도 시료에 존재하는 수백 종의 미생물을 한꺼번에 규명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장내미생물에 대한 놀라운 사실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물론 메치니코프의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나올 수도 있겠지만 역시 이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해독
된 수많은 남성들의 Y염색체 게놈 데이터를 분석했지만 이런 경우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좀 더 가능성이 높은 설명으로 현생인류 여성이 네안데르탈인 남성과 관계해 남아를 임신했을 경우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논란이 끝났다. 같은 해 역시 고게놈 연구로 데니소바인이라는 미지의 인류의 게놈이
해독
됐고 동아시아와 특히 오세아니아 사람들에게 이들의 피가 섞였다는 놀라운 사실도 밝혀졌다. 게놈서열을 바탕으로 추정을 하자면 먼저 현생인류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조상이 55만~76만 년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세포 생물체처럼 분류를 할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의 게놈은 2007년
해독
됐는데, 이에 따르면 가장 가까운 바이러스는 뎅기열바이러스이고 황열바이러스와 일본뇌염바이러스도 가까운 친척이다. 즉 이들은 모두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속(屬)에 속하고 모기가 감염 매개체라는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만드는데 구심점 역할을 했고 학술지 ‘사이언스’ 2006년 11월 10일자에 성게게놈
해독
결과가 25쪽에 걸쳐 특집으로 실리며 그의 연구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사이언스’ 10월 30일자에 부고를 쓴 스미스소니언연구소의 고생물학자 더글라스 어윈에 따르면 데이비슨은 유전자 조절 네크워크를 ... ...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되기도 했다. 공화정 시절에는 암호
해독
가로 활약하면서 왕당파 잔당들의 서신을
해독
하기도 했다. 훗날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코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하노버공국에 와서 암호학을 강의해달라고 했지만 거절했다고 한다. 1649년부터 옥스퍼드대에서 기하학 교수로 봉직하면서 월리스는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2) 영광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에서부터 나타난다. 여기서는 ‘석수어’라고 부르며 설사나 소화불량을 치료하거나
해독
에 좋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조기(助氣)라는 이름도 기력을 북돋워준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굴비는 염장을 통해 조기의 성분이 빠져나가지 않은 채 보존성을 높인 음식이니 조기의 영양이 고스란히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써서 전형적인 달착륙선 모양인 람다파지의 게놈(이중가닥 DNA 염기 48502개)을
해독
하는데 성공했다. 파지는 간접적으로도 생명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박테리아에서 발견된 제한효소는 분자생물학의 ‘양자도약’을 가능하게 한 유용한 도구다. 제한효소는 DNA에서 특정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