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한다. 즉 16배체라는 말이다. (배수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06 ‘곡물 게놈
해독
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38/news) 참조) 그럼에도 게놈 크기가 커지지 않은 건 복제된 유전자 대다수가 사라졌고 이 과정에서 정크DNA 부분도 없어지는 쪽으로 진화가 일어났기 ... ...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
KOITA
l
2013.05.03
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국내에서도 2004년 관련 실험에 성공한 바 있다. 단순 계산으로
해독
할 방법이 아니므로 양자암호가 상용화되면 보안 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어쩌면 패러다임 전환 수준의 변화가 일어날지도 모른다. 보안담당자의 고민은 언제쯤 끝날까? 아마도 궁극적인 보안체계가 ... ...
[웹툰]외계인의 수신호
KOITA
l
2013.05.02
보냈고 몇 십년 뒤 외계로부터 전파 수신호가 왔다. 외계인으로부터 받은 수신호를
해독
하고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외계인의 답변은 무엇인가? ’ 전파 수신호는 0과 1로 된 신호였고 교양 수업시간에 아레시보 메시지라는 내용을 배워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수 있다’고 말했어요.” 현재 개인 유전체를
해독
하려면 수억 원이 든다. 유전자를
해독
하는 장비 외에도 유전자 분석에 필요한 칩이나 염색약 등이 아직까지 비싸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서 몇 년 내로 수백만 원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 국내 유전체 연구 제각각…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인류(데니소바인으로 명명)의 손가락뼈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게놈을 거의 완벽하게
해독
했다는 내용이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과 가까운 인류로 밝혀졌는데, 놀랍게도 현생인류 가운데 뉴기니아와 호주에 사는 원주민 게놈의 5%가 데니소바인 DNA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하면서 만든 말이다. 메신저RNA 서열을
해독
해 아미노산 사슬을 만드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연구하던 우즈는 리보솜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5S 리보솜RNA(S는 침강계수로 앞의 숫자가 클수록 원심분리를 하면 더 빨리 침강한다)를 주목한다. 참고로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용은 DNA 100만 바이트당 정보를 저장하는데(DNA합성) 1만2400달러(약 1300만 원)이고 정보를
해독
하는데 220달러(약 23만 원)이다. 물론 이 비용은 현재 디지털 정보 저장 방식과 비교하면 터무니없이 비싸지만 그럼에도 오랜 시간(600~5000년)이 지나면 비용이 같아진다(현 방식은 10년마다 다시 저장한다고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독
했다.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해독
해 둘 사이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마침내 피어스 교수팀은 독감 바이러스의 게놈에서 범용독감백신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냈다. 바로 M2라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밝혔고 언어의 경계가 곧 유전적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지점임을 보였다. 최근 게놈
해독
이 쉬워지면서 인류학 연구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어 조만간 소칼의 주장은 좀 더 상세히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20. 셔우드 롤런드 (1927. 6.28 ~ 2012. 3.10) 오존층 파괴의 원인을 밝힌 화학자 프레온가스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게놈의 구조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가 물리적 방법으로 해석한 게놈의 구조는 훗날 게놈
해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기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2년 논문도 게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 ...
이전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