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HGP의 프랜시스 콜린스와 셀레라의 벤터가 당시 클린턴 대통령과 함께 인간게놈
해독
(초안)을 공동발표하는 역사적인 자리를 만드는데도 큰 역할을 했다. 4. 오스카 밀러 (1925 ~ 2012. 1.28) 교과서에 있는 ‘그 사진’을 찍은 사람 ‘공부는 때가 있다’고들 말하지만 100% 그런 것도 아니다. ‘늦었다고 ... ...
곡물 게놈
해독
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3분의 2 정도만 그 뿌리를 찾아놓은 상태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
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류는 병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대표적인 벼과 식물의 개통수에 밀의 작물화 역사를 재구성해 봤다. 오늘날 밀(밀빵)이 꽤 복잡한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주장했다. BT와 ICT가 융합하면 스마트폰 활용 개인 진단기술 개발과 차세대유전체
해독
기술 장비, 유전체 분석시장 등 다양한 시장을 창출할 수 있으며, 실제 BT기술을 ICT와 융합한 중소기업의 경우 1000만 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바이오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장 교수의 설명이다. 정부도 BT의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평균 길이는 77.5염기쌍이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구동토처럼 조건이 좋을 경우 게놈
해독
가능성의 한계는 100만 년 전 정도라고 한다. 이야기를 전개하기 앞서 말의 진화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약 5500만 년 전 하이라코테리움(Hyracotherium)이라는 고양이만한 동물이 살았는데 오늘날 말과 맥,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분야 전문가다. 교수 시절 배추흰나비의 집단 폐사 원인이었던 과립병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
해 나비 대량 생산의 길을 열었으며 질병을 옮기는 곤충의 조사 및 감시를 위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영남 거점센터’의 운영을 맡기도 했다. 연구실에만 있던 그가 왜 공무원 될 생각을 하게 됐을까.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중 1위를 차지했다. 여기에는 2002년 주요 곡물 가운데 가장 먼저 게놈 염기서열이
해독
된 벼에서 유용한 유전자를 탐색할 수 있도록 11만5000종의 돌연변이체를 만든 연구와 혈우병 치료제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돼지 개발 등이 포함됐다. ●연구는 실험실에서 사업은 실용화재단에서 김 청장은 현장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09.03.10
수 있다’고 말했어요.” 현재 개인 유전체를
해독
하려면 수억 원이 든다. 유전자를
해독
하는 장비 외에도 유전자 분석에 필요한 칩이나 염색약 등이 아직까지 비싸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서 몇 년 내로 수백만 원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 국내 유전체 연구 제각각… ... ...
이전
19
20
21
22
2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