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괌에 많은 소철의 씨를 갈아 만든 가루다. 소철의 씨에는 독이 있기 때문에 물에 잘 씻는
해독
과정을 거치는데 파당에 잔류한 독이 신경세포에 작용해 수십 년 뒤 발병한다는 것이다. 평소 파당을 많이 먹는 가정에서 환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리고 소철 씨에서 신경독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함께 넣어주면 독성이 꽤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레티가빈이 지네
해독
제로 쓰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지난 2015년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는 지네에 물렸을 때 통증이 심한 이유를 밝힌 논문이 실렸다. 독액을 방어용으로 쓸 경우 상대를 고통스럽게 하는 게 좋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뜨지만(지난주에도 수만 년 전 살았던 여자아이의 뼛조각에서 DNA를 추출해 게놈을
해독
한 결과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인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됐다), 리버먼 교수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기반한 고전적인 인류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다. 그의 연구를 보면 어떤 건 방법이 좀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2012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된 인류 화석의 게놈(유전체·생명체가 지닌 DNA 전체)을
해독
하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22일 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이 기술은 친자나 조상을 확인하기 위해 하는 DNA 검사를 극도로 정밀하게 개선한 것으로, 수만 년 전 화석의 조상까지 정확히 밝힐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0.4%가 여전히 후각에 할애돼 있다는 사실은 뜻밖이었다. 그런데 2000년 인간게놈
해독
으로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가 아니라 2만여 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은 경악했다. 사람 유전자의 2% 가까이가 냄새를 맡는 일을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쥐의 유전자도 비슷한 숫자로 밝혀졌고 따라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걸 막아야 한다고 저자들은 강조했다. 코알라를 멸종위기에서 구해내는데 이번 게놈
해독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pixabay 제공 뇌 대신 소화관을 선택 미국 작가 마이클 폴란은 2006년 펴낸 베스트셀러 ‘잡식동물의 딜레마’에서 먹이의 관점에서 양극단을 대표하는 동물로 코알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동안 깃편모충류는 2종에 그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 19종의 게놈을 추가로
해독
하면서 깃편모충류 역시 동물 이상으로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뤄진 집단이라는 게 밝혀졌고 이들이 지니고 있는, 지금까지 동물 고유의 유전자라고 알고 있었던 것들을 다 합치자 370여 가지나 됐다. 이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6배체(AABBDD)다. 밀 게놈 진화는 다소 복잡한 주제로, 관심이 있는 독자는 를 읽어보기 바란다. 밀은 밀속(屬) 식물을 통칭한 이름으로 여러 종이 있다. 밀의 진화를 재구성한 결과 2배체(diploid)인 야생밀(T. urartu)과 염소풀(Aegilops속)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식물로는 게놈을 재구성하기가 어렵다고 보고 성세포(n)를 배양한 뒤 DNA를 추출해 게놈을
해독
하는 전략을 썼다. 장미(월계화 올드 블러시)의 게놈 크기는 5억6000만 염기로 30억 염기인 사람 게놈보다 훨씬 작지만 유전자 수는 3만6000여 개로 추정돼 두 배 가까이 됐다. 이동성이 없는 식물은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흰색이 비소유자이고 동그라미가 여성, 네모가 남성이다. 파란색 테두리선이 게놈을
해독
한 사람이다. 아래는 소리-색 공감각을 확인하는 테스트로, 공감각자는 세 차례에 걸친 검사에서 특정 높이의 음에 거의 같은 색을 대응시킨 반면(왼쪽) 비공감각자는 일관성이 없다(오른쪽) -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