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때문에 물 분자 사이에는 비교적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물이 다른 물질에 비해
표면
장력이나 비열이 크고,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높은 것은 모두 물 분자 사이에 수소결합이라는 강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물이 얼 때 입체적인 육각 고리 모양으로 배열돼 공간의 크기가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손가락 모양과 같은 융털이 무수히 돋아 있다. 융털은 다시 미세한 융털돌기로 덮여 있어
표면
적을 크게 넓힌다. 이런 구조덕분에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영양소를 빠르게 흡수한다. 상피세포로 흡수된 영양분은 혈관을 타고 심장에 전달된 뒤 다시 온몸으로 퍼져나간다.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과 ... ...
거울이 보여 주는 요지경 같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해요. 전반사 덕분에 우리는 거울에 얼굴이나 물체를 비춰 볼 수 있지요. 반대로
표면
이 울퉁불퉁한 물체를 만난 빛은 여러 방향으로 멋대로 반사됩니다. 이것을‘난반사’라고 하지요.거울로 삼각기둥을 만들면 3개의 거울이 각각 60°를 이뤄요. 거울끼리 60°를 이루고 있으면 반사된 빛이 다른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파장의 빛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광결정 구조, 금속과 빛의 상호 작용에 따라 금속
표면
에서 전자의 공진과 빛을 결합, 한정시킬 수 있는 플라즈몬 현상을 들 수 있다.나노 구조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결정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모르포 나비의 오묘한 색처럼 자연계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사용기준을 보면 “탤크는 식품의 제조 또는 가공상 껌, 여과보조제 및 정제(錠劑)류
표면
처리제 목적 이외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식품에서 잔존량은 0.5% 이하이고 껌의 경우는 5% 이하여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약품에도 탤크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약품에 탤크를 넣은 이유는 원료들이 잘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래핀
표면
과 가장자리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능화하는 일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그래핀으로 만든 나노리본의 가장자리에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생체분자가 결합할 경우 미세하게 전자의 분포가 변한다. 이때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다른 탄소나노튜브들과 끈끈하게 붙어 있던 다발에서 벗어나 서로 떨어진다. 결국
표면
적이 넓어져 이온이 붙을 수 있는 자리가 많아지고 수축과 이완이 잘 된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2월 재료 학계에서 유명한 저널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에 실렸다.김 교수는 “지금까지 인공근육 재료로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작은 점에 집속시켜 통과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빛이 나노 구멍을 통과하면 금속
표면
에서 전자들이 집단으로 진동하면서 구멍 주변에 전하가 모이는데, 이 전하가 형성한 전기장이 깔때기 효과를 일으키는 동력이 된다.물은 깔때기의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진다. 마당에 심은 ... ...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물음에 답하라. (가) 대뇌는 좌우 두개의 반구로 나눠져 있으며
표면
에는 주름이 많아
표면
적이 매우 넓다. 대뇌의 대부분의 기능은 피질부가 담당하고 있다. 대뇌 피질에는 뇌기능의 각종 중추들이 모여 있는데, 기능에 따라 감각령, 운동령, 연합령으로 구분한다. 감각령은 감각기로부터 오는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고리 가까이에 보이는 작은 위성은 왼쪽부터 각각 ‘엔셀라두스’와 ‘디오네’다.
표면
이 얼음으로 덮인 엔셀라두스는 태양계에서 반사율이 가장 큰 천체로 사진에서도 눈에 띄게 반짝인다. 각 천체 오른쪽에 보이는 검은 점은 그림자다.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미마스’가 있다.사실 토성의 고리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