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과학매체 ‘스페이스(Space)’와의 인터뷰에서 “질량은 크지만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데 2~3일이면 충분할 정도로 많이 발전한 상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올해 2월에 밝힌 인간 게놈 시퀀싱 비용을 보면 2001년 1억달러(약 1151억 원)에 달하던 것이 2015년에는 1000달러(약 115만 원)로 10만분의 1 가량으로 줄었다. 그만큼 시퀀싱 기술은 완성에 가까운 상태다.아직 발전이 좀 더 필요한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영화에는 ‘괴생명체’가 등장한다. 조류, 어류, 파충류, 갑각류 등 여러 종의 DNA와 인간 여성의 DNA를 결합한 생명체다.현실의 합성생물학자의 목표가 이런 괴생명체를 만드는 데 있지는 않다. 다만 유전자 전체를 새롭게 설계하고 직접 제조함으로써 자연계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질소화합물 배출량은 156t에서 185t으로 18.6%나 증가했다. 2010년 질소화합물 배출량의 75%가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일 정도로 통제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점차 커지고 있는 질소화합물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2012년 처음 등장한 개념이 바로 ‘질소발자국’이다. 2006년부터 대중적으로 알려진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답이 리치나 펜로즈 같은 과학자들의 쌀쌀맞은 반응을 잘 설명해준다고 보았다. 인간 행동에 대한 진화 과학이 부딪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다른 과학, 이를테면 물리학이 봉착하는 어려움과 매우 다르다. 진화 사회과학이 내놓는 설명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진짜 어려움은 ...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해석할 때 수학적 사고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노래와 연기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과 인간관계를 맺는 데도 도움이 되고요.지난 1월 수학 에세이도 출간했는데, 김정훈 씨에게 수학은 어떤 의미입니까?수학은 사랑스럽고 고귀하며 순수하지요. 하지만 가끔은 매우 잔인해요. 그래서 수백만 가지의 ... ...
- [과학뉴스] 곤충 다리의 천연 ‘깁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먹잇감을 찾는 등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봤다.테일러 교수는 “인간과 달리 곤충은 뼈를 완벽하게 치료하지는 못한다”며 “그러나 큐티클 붕대를 이용해 꽤 잘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학회 학술지 ‘인터페이스’ 4월 6일자에 ... ...
- 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얼마나 위험하게 보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그리고 2016년, 영화 속 상상은 현실이 돼 인간이 디자인한 첫 인공생명체가 태어났다. 과연 이 생명체는 인류의 위협이 될 것인가, 구원이 될 것인가. 생물을 설계하는 합성생물학, 그 명과 암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못한다. 연구팀은 “첼로는 현재 대장균에 최적화돼 있는 언어”라며 “각종 박테리아와 인간의 소화관에서 주로 발견되는 슈도모나스균, 맥주효모균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합성해 작품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합성생물학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 작품은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 땅을 기어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는 창세기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