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과학자들과 알파고의 강화법을 이야기해봤다. 또 다른 종목에서 인간 챔피언을 무너뜨렸던 인공지능의 비법도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잘 믿지 못한다(J Pers SocPsychol. 2014 Oct;107(4):719-35.).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낯선 인간이라는 어마어마한 불확실성이 반가울 리가 없을 것이다.관계에 소극적인 성향은 소득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냉소적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10년 후 소득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있다(J Pers ...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해!동물실험은 인간과 비슷한 동물을 이용해 새로운 의약품이 안전한지, 특정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등을 알아내는 과정이에요. 동물실험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새로운 물질이 우리 몸에 안전한지 안전하지 않은지를 미리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에요.예를 들어 새로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운동을 한다면, 몹시 정밀하게 계산된 결과일 거라고 주장했다(박스 기사 참조). “인간은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끝없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해도 번식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동물들은 굶어 죽지 않으면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 만큼 날씬해야 하고, 장기적으로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장년층을 위한 공약 같기는 했지만, 그게 먹히고 있었다. 오래 산다거나 인간으로서 삶의 의미 같은 문제도 아득히 초탈한 것 같은 광속 한계 사회의 구성원들에게도 그런 박승휴의 주장이 이상하게도 최고의 가르침처럼 퍼져 있었다. 심지어 나조차도 그 이야기에 솔깃했다.그러나, 나는 이게 ... ...
- [과학뉴스] 매머드 화석에 인류가 남긴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블라디미르 피툴코 교수팀이 극지방에 살았던 매머드 화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사냥을 했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시베리아 중부에서 발견된 4만 5000년 전의 매머드 화석을 조사했어요. 그리고 이 화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뼈에 있는 특이한 상처자국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캉캉캉캉!”하루종일 피곤했던 몸을 겨우 누인 시원이가 막 잠이 들려고 하는 찰나, 시끄러운 금속성 소리가 들려왔어요. 지원군 선배는 짜증이나서 ... 의학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어요. 다양한 개구리들이 인간과 함께 지구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 인간이 좀 더 노력해야 할 거예요 ... ...
- [과학뉴스] 노화 연구 최적의 동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터콰이즈 킬리피쉬의 경우 수명이 2~6개월로 짧고, 인간과 유사하게 피부 색소와 시력 등에 노화가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피부색 변화와 꼬리 지느러미 손실 등 신체기관이 노화하면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잘 관찰되며, 분자생물학 연구를 위해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존 리거 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전세계 물 순환이 바뀌면서 육지가 스폰지처럼 변했고, 인간이 소비한 지하수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이 육지에 저장됐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해수면 상승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오는 중력파와 중성미자, 빛을 모두 관측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이제 지구상에서 인간이 만든 기계로 별의 내부와 외부를 다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초기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도 빼놓을 수 없다. 빅뱅으로부터 우주가 생겨난 뒤 38만 년까지의 시기는 우주 공간을 가득 채운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