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이에요. 그래서 해외에서는 수학자들이 발 벗고 나서고 있어요. 대표적인 분이 인간게놈(유전체)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에릭 랜더예요. 현재 매사추세츠공과대 생물학과 교수로 있지요. 놀랍게도 이 분에게는 생물학 학위가 없어요. 전문적으로 생물이나 의학을 공부한 적도 없지요. 오직 ... ...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과학매체 ‘스페이스(Space)’와의 인터뷰에서 “질량은 크지만 ... ...
- 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얼마나 위험하게 보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그리고 2016년, 영화 속 상상은 현실이 돼 인간이 디자인한 첫 인공생명체가 태어났다. 과연 이 생명체는 인류의 위협이 될 것인가, 구원이 될 것인가. 생물을 설계하는 합성생물학, 그 명과 암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못한다. 연구팀은 “첼로는 현재 대장균에 최적화돼 있는 언어”라며 “각종 박테리아와 인간의 소화관에서 주로 발견되는 슈도모나스균, 맥주효모균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합성해 작품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합성생물학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 작품은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 땅을 기어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는 창세기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고릴라의 언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들은 성대의 해부학적 구조가 인간과 달라 음성 언어를 배울 수는 없다. 그러나 아주 어린 시기에 렉시그램이나 수화 같은 언어 보조 수단을 가르치면 수천 단어 정도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배운 언어를 이용해 자신이 경험한 상황을 묘사하기도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야기를 하기도 했지만, 그들에 대한 기억을 맞춰 볼 퍼즐 조각이 없었다. 마치 투명인간처럼, 그들은 주변과 단절된 사람들이었다.딸을 살해한 목사 부부를 면담한 프로파일러는 그들에게서 ‘박탈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목사는 독일에서 유학을 하고 박사학위까지 받았지만, 자신이 꿈꾸던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숫자’에 대해 알아본다. 수학은 처음부터 완벽했던 존재가 아니라 완벽하지 않은 인간들이 서로 생각을 공유하고 개선해 완벽에 가깝게 만들어낸 인류 협업의 결과물임을 생각하는 기회를 갖는다.1은 수직눈금, 5는 ‘다섯’을 의미하는 PENTA의 머리글자(Pi), 0은 ‘열’을 의미하는 DELTA의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데 2~3일이면 충분할 정도로 많이 발전한 상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올해 2월에 밝힌 인간 게놈 시퀀싱 비용을 보면 2001년 1억달러(약 1151억 원)에 달하던 것이 2015년에는 1000달러(약 115만 원)로 10만분의 1 가량으로 줄었다. 그만큼 시퀀싱 기술은 완성에 가까운 상태다.아직 발전이 좀 더 필요한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 작업의 정확한 명칭은 알바가 아니고 피실험자다. 연구를 이끄는 신관섭 UNIST 디자인및인간공학부 교수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에 맞는 학생들만 참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근골격계 질환이 없어야 하며, 특수 신발을 신기 위해 남자는 발 사이즈가 26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